김준규號, 수사방식+조직문화 바꾼다

중수부 예비군化, 신중한 브리핑 등 수사방식 변화검찰DB서 출신지역·학교 삭제 등 조직문화도 수술김준규 검찰총장이 '변화의 칼'을 꺼내들었다.검찰 개혁의 '뜨거운 감자'로 거론되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를 동원예비군 형태로 운영하고 수사브리핑에 신중을 가하는 등 수사방식에 변화를 주는 한편, 검사 자료에서 출신지역과 학교를 삭제하는 등 조직문화에도 메스를 댈 방침이다.김 총장은 27일 대검 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중수부를 동원예비군 형태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김 총장의 복안에 따르면 중수부는 평시에 일선 지방검찰청의 특수부를 지휘·감독하고 계좌추적·금융조회 등 수사기법을 전파하는 등 사령탑으로서의 역할을 하다가 전시가 되면 검사들을 소집해 수사한 후 상황이 끝나면 원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될 계획이다.김 총장은 "평시에는 평상 업무를 맡게 하고, 전시가 되면 (검사들이)모이도록 해 수사하고 상황이 끝나면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김 총장은 또 '피의사실 공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수사브리핑에 대해 "수사상황이 완벽히 드러난 상태에서 국민에게 알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그는 "수사하는 입장에서는 보도의 속도라는 것은 의미가 없다"면서 "완전히 수사한 뒤 나중에 보도하면된다. 언론은 속도경쟁을 하지만 수사팀은 완벽히 드러난 상태에서 국민에게 알려주면 된다"고 덧붙였다.이밖에 김 총장은 학연·지연을 타파하고 검사와 일반직 간의 장벽을 해소하는 등 조직문화 개혁을 강도높게 추진할 계획이다.우선 김 총장은 검찰 데이터베이스(DB)에서 검사의 출신지역과 학교를 삭제하는 등 '패거리 문화'의 근원을 없앨 방침이다.김 총장은 "대검의 모든 자료에서 지연·학연 부분을 삭제하겠다"면서 "컴퓨터 자료의 DB자료도 삭제하는 한편, 검사들이 동의서를 내게 해 법조인 대관의 기록 중 지연·학연 부분을 삭제해달라고 하겠다"고 밝혔다.김 총장은 또 유능한 일반직이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거쳐 검사로 임용될 수 있도록 해 검사와 일반직으로 나뉜 조직 내부의 간격을 허물어 나갈 계획이다.김진우 기자 bongo79@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진우 기자 bongo7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