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발사가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나로호 등 우주과학 분야를 포함한 거대과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선 국민적 공감대와 정부와 민간 사이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한 보고서에 의해 제기됐다.삼성경제연구원(SERI)는 26일 '우리가 주목해야할 거대과학 기술'이란 보고서를 통해 거대과학의 지속적 추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거대과학(big science)는 입자가속기, 우주과학 등 막대한 자본과 인력 및 거대한 연구시설물을 필요로 하는 기초과학 분야를 의미한다.보고서는 거대과학은 초기의 실패 가능성이 높고 투자 대비 결과물 산출기간이길기 때문에 단기 성과에 얽매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미국이나 일본 등도 초기 우주개발에 많은 실패를 경험했다는 것.특히 '하이리스크' 분야인 거대과학은 진행과정에서 약간의 시행착오나 실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국민적 이해도' 향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발과정에서 생긴 결과물이나 파급 기술이 실생활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국가위상을 높일 수 있음을 적극 홍보해야한다.보고서는 사업실패의 위험성이 큰 거대과학의 사업화를 위해서 정부와 민간의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업실패 위험을 분담하기 위해 정부-민간 공동자본투여(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실제로 유럽 등에서는 PPP 방식의 자본투입을 통하여 연구성과를 상업화한 성공사례가 다수 존재하며 일본의 경우 우주발사체 제작은 미쓰비시중공업이 전담하고 있다.연구성과를 적극적으로 파급하기 위한 기술이전 시스템도 필요하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과학기술정보시스템(Science-Technology Information)'을구축해 우주개발 관련 기술의 상용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군의 경우 2004년 '테크매치(TechMatch)' 시스템을 설립해 말라리아 치료제, 박막 태양광전지, 나노섬유 등 139건의 첨단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상업화했다.보고서는 또 정부 연구소의 우수한 기술인력을 활용해 스핀오프 방식으로 직접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