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유전자원 보존·관리 및 이용 활성화 기본계획' 마련
정부가 농·어업 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대학, 연구소, 유전자원 책임기관 등이 참여하는 ‘유전자원 조사·수집팀’을 운영키로 했다.또 동·식물과 미생물 유전자원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유전자원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농림수산식품부는 21일 농업유전자원심의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농어업유전자원 보존·관리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을 심의,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이번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보유 유전자원의 65%가 식량작물에 편중돼 있는 등 원예·특용작물과 토종자원 등에 대한 유전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단 판단 아래, 관련 조사·수집팀을 꾸려 ▲국내·외 유용 유용 유전자원에 대한 사전조사를 강화하고 ▲대상 및 지역에 따라 전략적 수집체계를 구축해나간다는 방침이다.특히 한반도가 원산지인 토종자원의 반환 추진을 위해 국가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국제농업기구 및 그 소속 연구기관과의 협력 또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지난해 20만6000점이었던 유전자원 수집 규모를 오는 2013년 26만2000점, 2018년 33만3000점 등으로 늘릴 계획이다.또 농식품부는 ▲농업진흥청 산하 농업유전자원센터를 정밀평가 중심 기관으로 운영하고, ▲농업유전자원의 수집·증식 등을 담당하는 관리기관(민간대학 39곳, 지방자치단체 47곳)을 병·충·기능성 성분 등에 따른 분야별 정밀평가 전문기관으로 육성해 연구자나 육종가 등 수요자들이 유전자원 특성평가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해나가기로 했다.이밖에 소량 및 저활력 유전자원(보유자원 중 발아율 60% 이하, 종자량 400립이하로 우선 증식이 필요한 유전자원)의 안전한 보존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산·학·연 및 유전자원 관리기관과 협력계를 구축해 특별증식사업을 확대하며, 재래종 유전자원 등 국가 중요자원에 대한 유전자(DNA) 뱅크(유용 동식물 유전자원의 DNA를 은행처럼 체계적으로 장기 보존하는 시설)를 구축해 자원주권 확보 및 생명산업 소재 활용에 더욱 노력해나가기로 했다.또 유전자원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기반의 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며,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유전자원 책임기관에 단기 전문가 과정을 개설·운영하는 한편, 유전자원 관리기관 지정을 대학을 중심으로 확대해나가기로 했다.농식품부는 이 같은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오는 2018년까지 '세계 5대 유전자원 강국 실현'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