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그룹들의 재무상황이 정부에서 발표하는 것보다 더 심각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와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4일 한국경제학회·한국금융연구원 공동 주최 세미나에서 '구조조정 무엇을 어떻게 할것인가'란 발제문을 통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용하는 단순합산 가중평균 부채비율은 대기업그룹의 재무위험을 크게 과소평가할 수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교수와 전 교수는 48개 상호출자제한집단 중 공기업 등을 제외한 40대 그룹을 대상으로 공정위 방식이 아닌 '연결합산' 방식으로 부채비율을 조사한 결과,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GM대우·삼성테스코 등 4개 그룹이 500%를 넘었다고 밝혔다. 또한 금호아시아나·두산·한국가스공사·STX·코오롱 등 5곳도 400%를 넘었고, 200% 이상 400% 미만인 곳도 동부·한진 등 14곳에 달했다.
'연결합산' 방식은 계열사의 재무제표상 부채와 자산을 단순 합산하는 방식과 달리 ▲각 그룹의 출자구조상 최상위 회사의 연결 재무제표를 합산하고 ▲미포함된 국내 계열사의 개별 재무제표를 더한 뒤 ▲계열사간 출자 등 내부거래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같은 방식으로 이자보상배율을 계산해본 결과, 작년에 영업적자를 기록한 한국전력·하이닉스를 포함해 한진·동부·대한전선·동양·삼성테스코 등 7곳이 1배 미만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미만이라는 것은 지불해야할 이자비용보다 벌어들인 영업이익이 더 적다는 의미이다.
두 교수는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STX 등 조선업체는 부채비율이 높은 반면 이자보상배율은 양호했다"며 "그러나 금호아시아나·두산·대한전선 등 인수합병(M&A)으로 급성장한 그룹은 부채비율과 이자보상배율 모두 불안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또 "재무구조개선약정(MOU) 체결 대상그룹 선정은 다양한 재무지표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는데, 지표마다 상이한 신호를 보낼 가능성이 크다"며 "결국 최종 선정 결과는 정부·채권단과 대상그룹간 물밑 협상에 상당부분 좌우될 소지가 있고, 이는 구조조정의 투명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