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의 구조조정 태풍이 다시 밀려들고 있다.
신창건설이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 건설업계와 금융권이 충격에 휩싸였다.
B등급 건설사의 안전성을 보장받기 어렵다는 사실을 재확인해줬기 때문이다.우선 당장 건설사들의 하도급이나 자재납품 등에 연관된 협력업체들은 B등급 건설사 '다시보기'에 나섰다.
많게는 수십억원에 이르는 대금이 묶인 협력업체들은 잇단 건설사들의 부도와 워크아웃 사태로 인해 초긴장 상태다.
◇2차 구조조정 임박= 지난 1월 1차 구조조정에 이은 후속 구조조정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다.
금융권은 시공능력순위 101~300위까지 이르는 70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평가기준을 마련, 신용위험평가에 착수했다.
이르면 다음주면 평가결과가 발표될 예정이어서 건설업계와 연관업계 등이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차때와 마찬가지로 2차 구조조정에서도 건설사들은 A~D등급으로 분류된다. 정상기업은 A,B등급이며 C등급은 워크아웃, D등급은 퇴출 등의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된다.
이번 평가에서는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에 대한 자금의존도를 추가 평가한다. 주택사업을 하더라도 대형 건설업체들과는 달리 규모 자체가 적은 점을 감안한 것이다.
그러나 1차 평가에서 B등급을 받은 신창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2차 평가에서는 더욱 많은 구조조정 명단이 나올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1차평가의 B등급 건설사의 법정관리 신청에 재평가를 지시하며 2차에서는 개별 금융기관의 입김보다는 더욱 객관적인 평가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페이퍼 컴퍼니 대규모 퇴출= 게다가 정부는 등록기준이 미달한 건설업체 2000여곳을 퇴출시킨다는 방침이어서 건설업체의 구조조정이 절정에 달할 전망이다.
국토부는 작년 9월부터 실사를 통해 자본금 등 등록기준이 미달한 건설업체 3000개 가운데 2000개를 적발했다.
이는 종합건설업체 약 1만2600개사의 16%에 해당한다.
건설산업기본법에서 토목건축공사업은 기술자 11인 이상, 자본금 법인 12억원 이상 등을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런 규정에 미달한 것이다.
정부는 건설사들이 이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대부분은 자본금 미달업체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기술 인력과 보증가능금액확인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업체가 각각 600곳과 100곳으로 확인됐다.
특히 자본금 미달업체 중 상당수는 주로 사채업자로부터 국공채를 단기간 빌려 요건을 채운 후 돌려준 건설사였다.
국토부는 등록기준에 미달한 건설업체들의 명단을 이달 중 해당 지자체에 통보할 계획이다. 대상업체들은 해당 지자체에 대한 소명절차를 거쳐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타당성 있는 해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순차적으로 영업정지 처분이나 등록말소 등의 강력한 행정조치가 이뤄지게 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민형 박사는 "2차 구조조정에 이어 건설사 실사를 통한 퇴출작업 등이 이어지며 건설업계는 한바탕 구조조정 회오리가 몰아칠 전망"이라면서 "주택시장 장기 침체에 따라 이런 냉혹한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