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종합] "왜 우리끼리 싸워야 하나" 文 대통령 '편 가르기' 논란에 간호사까지 뿔났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文 대통령 "간호사, 파업하는 의사들 짐까지 떠맡는 상황"
의료계, '편 가르기' 논란에 동조 "이간질 말고 본질적 문제 해결해야"

[종합] "왜 우리끼리 싸워야 하나" 文 대통령 '편 가르기' 논란에 간호사까지 뿔났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한승곤·김연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간호사들에게 "파업하는 의사들의 짐까지 떠맡아야 하는 상황이니 얼마나 힘들겠냐"고 감사 인사를 전해 의사와 간호사 간의 '편 가르기'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의사뿐 아니라 간호사 단체까지 문 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하고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은 2일 페이스북을 통해 간호사 노고에 공감한다는 취지의 감사 인사 글을 게시했다.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전공의 등 의사들이 떠난 의료 현장을 묵묵히 지키고 있는 간호사분들을 위로하며 그 헌신과 노고에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더해 진료 공백으로 환자들의 불편이 커지면서 비난과 폭언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열악한 근무환경과 가중된 업무 부담, 감정노동까지 시달려야 하는 간호사분들을 생각하니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지난 폭염 시기, 옥외 선별진료소에서 방호복을 벗지 못하는 의료진이 쓰러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국민의 마음을 울렸다"며 "의료진이라고 표현됐지만, 대부분이 간호사들이었다는 사실을 국민은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는 간호사분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릴 수 있는 일들을 찾아 나서겠다. 간호 인력 확충, 근무환경 개선, 처우 개선 등 정부는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며 "코로나19 방역의 최일선에 있는 공공병원의 간호 인력을 증원하는 등 당장 할 수 있는 일부터 신속히 하겠다"고 약속했다.



[종합] "왜 우리끼리 싸워야 하나" 文 대통령 '편 가르기' 논란에 간호사까지 뿔났다 문재인 대통령이 2일 페이스북에 올린 '간호사에 대한 감사 메시지'를 두고 '편 가르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사진=인스타그램 게시물 캡처


해당 글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으로 확산하자 의료계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간 '편 가르기' 아니냐며 지적하고 나섰다.


서연주 대한전공의협의회 부회장은 3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정부의 태도를 꼬집어 비판했다.


서 부회장은 "내부의 신뢰 관계나 어떠한 분노나 실망감 이런 것들도 저희가 많이 완화가 되는 상태라고 판단을 했었는데 어제 대통령님께서 남겨주신 글이 다시금 감정 상태를 악화시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젊은간호사회 쪽에서는 이런 편 가르기는 별로 이런 상황을 회복하는 데에 옳지 않고 사실 그런 상황들에, 코로나 상황에서 가장 고생한 것은 간호사 그리고 의사들이기 때문에 정부의 진정성 있는 태도로 동료들이 빨리 병원에 돌아올 수 있게 해주셔야 한다"며 "이 상황에서 이렇게 편 가르기 하는 방식은 옳지 않다, 이렇게 이야기하시는 것들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강조했다.


SNS상에서도 문 대통령의 게시글에 대한 불만이 솟구치고 있다. 한 누리꾼은 "전공의가 없는 자리를 채우는 것은 간호사만이 아니라 의사들도 그 자리를 채우며 최선을 다해 버틴다"며 "'의사들의 짐까지 간호사들이 떠맡는다"라는 표현은 묵묵히 버티며 일하는 의사들에게 깊은 상처가 될 수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사용된 표현이 아니길 바란다"고 했다.


다른 누리꾼은 "제발 현장에서 직접 뛰고 있는 사람들의 말을 듣자"며 "히포크라테스도 지금 우리나라에서 의사를 하고 있었으면 관뒀을 것이다"라고 최근 문 대통령이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언급한 내용을 비꼬았다.


[종합] "왜 우리끼리 싸워야 하나" 文 대통령 '편 가르기' 논란에 간호사까지 뿔났다 문재인 대통령이 2일 페이스북에 간호사들에게 전한 감사 메시지를 두고 '편 가르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간호사 단체인 '젊은간호사회'에서 올린 입장문.사진=젊은간호사회 페이스북


특히, 문 대통령으로부터 감사 메시지를 전달받은 간호계에서도 '편 가르기' 논란에 비판을 가하는 모습이다.


젊은 간호사협회서는 2일 페이스북 공식 계정을 통해 "간호사의 노고를 알아주심에 감사드린다"면서도 "열악한 근무, 가중된 근무환경, 감정노동이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료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면 현재 있는 의료인력부터 확실히 지켜달라"며 "간호사들의 어려움을 줄이는 방법은 간호대 증원, 지역간호사제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행동하는 간호사회'도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의료현장에서는 의사들의 부재로 혼란이 생기고 있지만, 간호사들에게 혼란은 새롭지 않다"면서 "코로나19 이전에도, 의사 단체행동 전에도 간호사들은 의료인력 부족과 과중한 업무량에 시달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 대통령의 글이 또 다른 형태의 '덕분에 챌린지'가 아니길 바란다"며 "간호사들이 지속할 수 있게 일할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 조성, 열악한 급여체계 개선, 구체적인 교육제도와 재정을 마련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각 병원에 법적으로 강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문 대통령 게시글 논란에 고마움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의미가 변질했다고 지적했다.


고 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이 간호사들에게 보낸 감사 메시지에 대해 편 가르기라며 떠들썩하다"라며 이렇게 볼 수도 있구나 하며 놀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길에 쓰러진 사람에게 손을 내밀었는데 무슨 의도로 그러냐며 오히려 화를 내는 형국"이라며 "보고도 못 본 척 누가 다쳐도 그냥 지나쳐야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누군가의 헌신에 대해선 고마워하고 고마움을 그저 문자 그대로 받아주는 게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라며 "무엇이 우리를 이토록 민감해지게 만들었나"라고 회의감을 표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김연주 인턴기자 yeonju185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