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중기부 장관후보자 인사청문회
디지털 전환·스마트 제조 생태계 조성 약속
"K뷰티처럼 성공할 산업 새로 발굴할 것"
"폐업 후 재기 지원·공정 시장질서 확립 총력"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는 15일 "민간에서의 경험을 살려 중소·벤처·소상공인의 성장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디지털전환(DX), 규제 개혁, 지역균형 등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겠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아울러 "소상공인이 안정적으로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경영 부담을 덜고 폐업 이후에도 재기할 수 있는 회복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면서 소비 진작을 통한 내수 활성화와 함께 사업 정리·재취업 교육훈련을 포함한 종합적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네이버 시절 '프로젝트 꽃'을 통해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의 디지털 전환을 도운 경험을 바탕으로 소상공인의 DX를 돕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한 후보자는 "소상공인 DX는 비용 효율화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며 "사업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해석해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찾아내는 수준까지 데이터 활용력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겠다"고 했다.
중소기업의 DX와 인공지능(AI) 기반 제조 혁신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AI 분야 벤처·스타트업의 육성과 스마트 제조산업 혁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국회와 협의해 '스마트 제조산업 혁신법'을 제정한다는 구상이다.
한 후보자는 "많은 스타트업이 제조 AI 사업에 도전해 제조 기업에 필요한 솔루션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마트 제조 혁신 생태계 조성에 집중할 것"이라며 "제조 현장의 혁신과 K소프트파워를 활용해 작년 중소기업 수출 1위라는 성공을 만들어 낸 K뷰티와 같은 사례를 새롭게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혁신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는 창업 생태계 조성도 약속했다. 한 후보자는 "벤처투자 시장에 민간, 해외 자금이 활발히 유입되도록 모태펀드의 플랫폼 기능을 강화하고, 글로벌 벤처 투자자의 국내 유입을 촉진하겠다"며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을 위한 제도 정비 의지도 밝혔다. 기술 탈취, 불공정 거래 등 구조적 문제를 바로잡고, 분쟁 조정과 피해 구제 방안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창업 생태계와 특화 연구개발(R&D)도 추진하기로 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 후보자는 "정부는 민간의 창의와 역량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제도와 환경을 설계하고 뒷받침해야 한다"며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충실히 반영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오래오래 안전하게 장사하고 사업하며 성장해 나가는 기틀을 다지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