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구체 핵심 원료 '고순도 황산니켈' 등
'원료·반제품·양극재' 자체 공급망 확보
포스코퓨처엠이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전구체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산 소재 확보를 통한 배터리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10일 포스코퓨처엠은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에서 전구체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 천성래 포스코홀딩스 사업시너지본부장, 정인화 광양시장, 최대원 광양시의회 의장, 구충곤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장 등 관계자 70여명이 참석했다.

엄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포스코 그룹 차원의 니켈 공급망을 구축한 것에 이어 이번 전구체 공장 준공으로 '원료·반제품·양극재'에 이르는 자급체제를 완성했다"며 "글로벌 공급망 정책 변동 속에서 광양 전구체 공장은 국내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와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 공장은 기존 광양 양극재 공장 부지 내 총 2만2400㎡(약 6800평) 크기로 조성됐고, 연간 4만5000t 규모의 전구체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전기차 5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여기서 생산되는 전구체는 전량 얼티엄셀즈 양극재 제조에 사용될 예정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공장 준공으로 대량의 전구체를 직접 생산해 더욱 철저한 양극재 품질 관리가 가능해졌다. 전구체는 원하는 구조의 물질이 되기 전 단계를 통칭하는 용어인데, 배터리 산업에서는 양극재가 되기 전 단계의 물질을 의미한다. 전구체는 원료 비중과 생산 방식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고 불순물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양극재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 요소로 꼽힌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구체의 핵심 원료인 니켈을 포스코 그룹 차원에서 공급받게 됨으로써 공급망 경쟁력을 더욱 높이게 됐다. 비중국산 니켈을 가공한 원료를 바탕으로 포스코가 고순도 황산니켈로 만들어 포스코퓨처엠 전구체 공장에 공급하는 구조다. 이외에도 포스코HY클린메탈이 재활용을 통해 회수한 황산니켈을 포스코퓨처엠에 공급한다.
지금 뜨는 뉴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시장 변화와 고객 요구에 따라 공급망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연구개발과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최상급 이차전지 소재사로의 도약을 가속하겠다"고 전했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