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제주항공 참사 한 달만에 에어부산 화재…LCC 안전문제 '도마 위'

시계아이콘01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사고 항공기 직전 48시간 동안 17회 운항
국토부 4월까지 '항공안전 혁신대책' 마련

무안 제주항공 참사 한 달여 만에 김해공항에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가 발생하면서 저비용항공사(LCC)의 안전 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기체 결함이 아니라는 데 무게가 쏠리지만, 이용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항공 안전 혁신안을 마련해 오는 4월 발표할 예정이다.

제주항공 참사 한 달만에 에어부산 화재…LCC 안전문제 '도마 위' 29일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소방당국, 공항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현장을 보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AD


29일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15분께 김해공항 주기장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BX391편 항공기(HL7763)에서 불이 나 승객과 승무원 등 176명 전원이 비상 탈출했다.


이번 사고는 사망자 없이 3명이 경상을 입는 데 그쳤다. 그러나 179명이 사망한 무안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만에 발생한 항공기 사고라는 점에서 LCC를 비롯한 국내 항공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LCC의 과도한 운항이 사고를 야기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항공기 추적 웹사이트 플라이트어웨어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사고가 난 제주항공 7C2216편 기체는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총 13차례 운항해 정비 소홀 문제가 제기됐다. 무안·제주·인천공항, 태국 방콕 등을 오간 것으로 파악됐다.


에어부산의 HL7763 항공기도 전날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총 17회 운항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항 시간은 총 942분, 15시간 42분이다. 운항 노선은 김포~제주, 제주~김해, 김포~김해, 김해~마카오 등이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항공사의 항공기 보유 대수는 대한항공 161대, 아시아나항공 81대, 제주항공 42대, 티웨이 30대, 진에어 27대, 에어부산 22대 등이다.


LCC 안전 문제가 재점화하자 항공 안전 관할 부처인 국토부는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 23일 박상우 장관 주재로 특별점검 회의를 열고, 국내 9개 LCC 최고경영자(CEO)와 안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 LCC들은 항공기 가동률 하향 조정, 인력 충원, 안전 부문 투자 확대, 조종사 교육 등의 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제주항공의 경우 하루 평균 가동 시간을 14시간에서 12.8시간으로 약 9% 줄이고, 정비 인력은 현재 309명에서 연내 350명까지 늘릴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달 말까지 민·관 합동 점검단을 통해 LCC를 비롯한 11개 국적 항공사와 전국 공항의 안전 체계, 시설 등을 점검한다. 이후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4월까지 '항공 안전 혁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AD

국토부는 "LCC가 수익 추구에만 급급하고 근본적인 안전 개혁을 단행하지 않으면 항공 산업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며 "LCC 안전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불식될 때까지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