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헌 의원, 데이터 센터 부족 지적
"AI 인프라 문제 해소 시급"
"스타트업·대학에 바우처 제공해야"
국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턱없이 부족하고, AI 공급국으로 거듭나기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을 대상으로 한 국감에서 "현재 수준으로는 급증하는 AI 컴퓨팅 파워 수요를 모두 감당할 수 없다"며 "중장기적으로 AI 데이터센터가 확충되지 않으면 AI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과기정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민간 데이터센터 85개와 행정·공공기관 데이터센터 103개로 총 188개의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다만 이는 CCTV 관제센터 등 특수목적의 저성능·저용량 데이터센터까지 포함한 것으로, 일반적인 대규모 데이터센터로 포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지난 3월 기준 세계 주요 국가들의 데이터센터 수는 미국 5381개, 독일 521개, 영국 514개로 한국은 세계 국가별 데이터센터 수 순위에서 10위권에 들지 못해 AI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그래픽처리장치(GPU)의 높은 가격과 품귀현상으로 스타트업 등 많은 기업과 연구기관이 GPU 확보를 하기가 쉽지 않아 높은 장벽을 체감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지난 2월 시작한 '생성형 AI 개발 지원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GPU 확보 문제를 해결한 일본의 한 AI 스타트업이 창업 1년 만에 AI 분야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이 된 사례를 들었다.
반면 우리 정부는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중소·벤처기업, 대학 연구실을 지원하는 'AI 고성능 컴퓨팅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었는데, 해당 사업 예산을 지난해 150억원에서 올해 132억원으로 줄였다. 이 사업에서 지원하는 컴퓨팅 자원 스펙이 대규모 AI 학습을 위해 필요한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한국에서도 AI 분야 유니콘이 나오려면 AI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AI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는 인프라 부족 현상 해결이 어렵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인프라 잘 갖추고 AI 자립국으로 만들기 위해 데이터센터에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이 의원의 지적에 "동의한다"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 "AI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는 스타트업 및 대학 등을 대상으로 바우처를 제공해 인프라 부담 비용을 경감시키고 접근성을 확대하는 등 정부의 마중물 역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