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의 변화가 이런 큰 영향력을 갖는 이유는 한국어가 지니는 특징 때문이다. 한국어의 특징을 이해해야만, 그래서 한국어에서 호칭이 갖는 의미를 이해해야만 구성원들이 엄청난 불편함을 감수하고 변화에 동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불행히도 대부분의 호칭 제도 변화를 도입한 기업들은 구성원들에게 호칭이 갖는 사회언어학적인 의미를 충분히 이해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호칭 제도가 잘 정착된 경우도 있지만, 일부 기업들은 변화를 시도했다가 다시 과거의 호칭 체계로 되돌아갔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한국어의 어떤 특징이 호칭과 관련된 것일까?
그것은 바로 2인칭 대명사의 특징적인 사용 양상이다. 한국어는 '너를 너라고 하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다. 한국어는 공손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너'나 '당신' 같은 2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언어 유형에 속한다. 대화 상대가 누구든 2인칭 대명사인 'you'를 사용할 수 있는 영어와는 사뭇 다르다. 영어 사용자들은 상대를 가리지 않고 할머니에게도 어머니에게도 상사에게도 'you'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언어 중에는 한국어와 같은 유형이 매우 드물고, 영어와 같은 유형이 일반적이다.
(중략)
그럼 이름으로 상대를 칭하면 어떨까? 한국 문화에서는 상대를 이름만으로 칭하는 것 역시 공손함을 드러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름을 안다고 처음 만난 사람을 이름으로만 칭한다면 그것은 상대를 '너'나 '당신'이라고 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2인칭 대명사로 칭하는 것과 똑같이 이름만으로 상대를 칭하는 것 또한, '나는 당신이 공손함을 드러낼 대상이 아니라 생각합니다'라고 선언하는 것이 된다. 이름만으로 상대를 칭할 수 있는 관계라면 '너'라고도 칭할 수 있는 사람이다.
결국, '너'나 '당신'이라고도 칭할 수 없고, 이름으로도 칭할 수 없으니 별도의 말이 필요한 것이다. 그 별도의 말이 호칭어와 지칭어다. 한국어에 다양한 호칭어와 지칭어가 존재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신지영, <신지영 교수의 언어감수성 수업>, 인플루엔셜, 1만8000원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