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예금금리 6개월 만에 상승 전환…주담대 금리 7개월째 하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은 '5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저축성수신금리 연 3.55%…6개월 만에 상승 전환
주담대 금리 3.91%로 7개월째 하락세

예금금리 6개월 만에 상승 전환…주담대 금리 7개월째 하락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시장금리 상승으로 은행권 예금금리가 6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7개월 연속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4년 5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3.55%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12월 3.85%를 기록한 뒤 6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순수저축성예금은 3.53%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올랐고, 시장형금융상품은 3.64%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올랐다.


서정석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팀장은 "시장금리 상승으로 저축성수신금리가 올랐다"며 "순수저축성예금은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시장형금융상품은 금융채와 양도성예금증서(CD)를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5월 대출금리는 연 4.78%로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이 모두 오르며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4.9%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오르며 작년 12월(5.29%) 이후 6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대기업(+0.02%포인트)과 중소기업(+0.04%포인트) 모두 올랐다. 주요 지표금리가 상승한 영향이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 하락한 반면, 일반신용대출은 상승했다. 주담대 금리는 3.91%로 작년 11월(4.48%)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세다. 일반신용대출은 6.11%로 전월 대비 0.09% 상승했다.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58.6%로 전월 대비 3.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고정형 주담대가 93.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변동형이 대부분인 일반신용대출의 비중이 확대되면서다.


서 팀장은 "주담대 금리는 주요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이 내리면서 하락했다"며 "일반신용대출은 단기지표금리 상승과 중저신용자 비중 확대의 영향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예대금리차는 수신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더 크게 상승하면서 전월 대비 축소(1.24%포인트->1.23%포인트)됐다.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 수신금리(1년 만기 정기예(탁)금 기준)와 대출금리(일반대출 기준)가 저축은행, 새마을금고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수신금리는 저축은행(-0.03%포인트), 신협(-0.08%포인트), 상호금융(-0.07%포인트), 새마을금고(-0.07%포인트) 모두 내렸다. 대출금리는 저축은행(+0.02%포인트), 새마을금고(+0.26%포인트)가 오른 반면, 신협(-0.14%포인트), 상호금융(-0.06%포인트)이 하락했다.



한편 한은은 이달부터 가계대출과 주담대의 고정·변동금리대출비중과 주택담보대출 고정·변동금리를 개편해 주기형대출 중 금리변동주기가 5년 이상인 경우를 기존 변동금리가 아닌 고정금리로 포함해 편제했다. 올해 들어 주기형 주담대 취급이 증가하면서 감독당국이 주기형 대출을 고정형으로 분류하면서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