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은 “게임, SNS 몰두하는 2030…IT 발전이 청년 노동공급 줄였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은 '컴퓨터 관련 여가와 노동공급' 보고서
IT기술 발전으로 컴퓨터 관련 여가 시간 크게 늘어
컴퓨터 관련 여가, 청년층 노동공급 줄여

한은 “게임, SNS 몰두하는 2030…IT 발전이 청년 노동공급 줄였다”
AD

IT 기술 발전으로 게임, SNS 등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이 2030을 중심으로 크게 늘면서 청년층의 노동공급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컴퓨터 관련 여가와 노동공급’ 보고서에 따르면 컴퓨터·휴대폰 성능 향상 등 IT 기술 발전이 더욱 긴 시간을 컴퓨터 관련 여가활동에 사용하게 하면서 청년층의 노동공급을 감소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들의 근로시간은 감소하고 여가시간은 증가하고 있다. 주5일 근무제,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과 더불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선호 현상에 의해서다. 남성 청년층의 여가시간은 1999년 주당 54.6시간에서 2019년 58.7시간으로 늘었고, 중장년층도 같은 기간 57.5시간에서 59.1시간으로 늘었다. 여성 청년층 여가시간도 52.2시간에서 58.9시간으로, 중장년층은 51시간에서 58.6시간으로 늘었다.


여가시간 증가는 수면, 식사 등의 필수여가와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을 늘린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 청년층의 필수여가 시간은 1999년 22.6시간에서 2019년 30.1시간으로 늘었고, 중장년층도 22.2시간에서 29.1시간으로 증가했다. 여성 청년층(22.8시간->32.3시간)과 중장년층(19.9시간->29시간)의 필수여가 시간도 증가했다.


IT기술 발전이 모든 연령대의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청년층의 컴퓨터 관련 여가는 1999년 주당 1.5시간에서 2019년 7.3시간, 중장년층은 0.3시간에서 2.7시간, 여성 청년층은 0.4시간에서 14.3시간, 중장년층은 0.1시간에서 2시간으로 크게 늘었다. 한은은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 증대가 IT 기기 성능의 빠른 향상과 관련 콘텐츠의 급증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 늘며 청년층 노동공급 줄어

컴퓨터 관련 여가시간 증대는 전 연령층, 특히 청년층의 노동공급을 큰 폭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999~2019년 중 인구집단별 근로시간은 남성 청년(-6.7시간), 남성 중장년(-4.6시간), 여성 청년(-1.5시간), 중장년(-3.3시간) 모두 줄었는데, 이중 청년층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추정됐다. 컴퓨터 관련 여가 기술 발전으로 인한 노동공급 감소폭은 남성과 여성 청년층이 각각 10.7%, 6.3%로 남성 중장년 4.9%, 여성 중장년이 3.7%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남성과 여성 청년층의 근로시간 감소분의 68.7%(-4.6시간), 99.2%(-1.4시간)가 컴퓨터 관련 여가 기술 발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강철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향후에도 IT 기술 혁신은 청년층의 노동공급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청년층이 나이가 들어서도 비슷한 여가 사용 행태를 유지한다면 IT 기술 발전이 중장년층의 노동공급에도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여가시간의 증가는 근로자의 건강상태 개선, 효율적 업무문화 정착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 IT 기술 발전으로 인한 노동공급 감소 영향을 일부 상쇄하는 효과도 있다”며 “앞으로 우리 경제가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노동공급 감소가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감안하면, 노동생산성을 꾸준히 높여가는 것이 과거에 비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