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대형 대부업 연체율 12.6%…10년來 최고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전년比 5.3%p 급등
급전 필요한 저신용자 신용위기 우려

지난해 대형 대부업체의 연체율이 12.6%로 10년 내 최고치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대출을 이용하는 저신용자 10명 중 1명이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의 연체율(30일 이상 원리금 연체)은 12.6%로 전년(7.3%) 대비 무려 5.3%포인트 상승했다. 대형 대부업체 연체율이 12%를 넘어선 것은 2013년(13.24%) 이후 10년 만이다. 저신용 서민의 마지막 대출 보루로 여겨지는 대부업체의 연체율이 급등한다는 건 저신용층의 신용위기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작년 대형 대부업 연체율 12.6%…10년來 최고치
AD

지난해 대부업체 대출 규모는 12조5000억원으로 전년(15조9000억원) 대비 21.3%(3조4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서는 14.2%(2조775억원) 감소했다. 아프로파이낸셜대부의 폐업과 연체율 증가 등의 영향으로 대출잔액이 줄었다. 대출유형은 신용이 4조6970억원(37.5%), 담보는 7조8177억원(62.5%) 규모였다.


평균 대출금리는 14%로 전년(14.1%)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최근 고금리 지속에 따른 조달금리 상승으로 신용대출과 담보대출 금리는 모두 상승하는 추세다. 신용대출금리는 지난해 상반기 14.1%에서 하반기 14.3%로 올랐고 같은 기간 담보대출금리는 13.2%에서 13.8%로 상승했다.


1인당 대출액은 1719만원으로 2022년(1604만원)과 비교해 7.1%(115만원) 증가했다.


대부 이용자는 72만8000명으로 전년(98만9000명) 대비 26.3%(26만1000명) 줄었다. 이용자수 약 9만명의 아프로파이낸셜대부의 폐업 등이 대부 이용자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신용층의 금융애로 해소와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성행하는 불법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우수 대부업자에 대한 유지·취소요건을 정비해 저신용층에 대한 신용공급 노력이 지속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서민취약계층의 긴급한 자금 수요를 위해 서민금융진흥원과 금융회사가 제공하는 정책서민금융상품에 대한 안내·홍보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