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냥 쉬는' 청년 40만명…9개월 만에 증가 전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이 9개월 만에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노동시장 유입 대책에도 불구하고 쉬는 청년 수는 여전히 40만명 선을 맴돌고 있다.

'그냥 쉬는' 청년 40만명…9개월 만에 증가 전환 지난 5월 열린 한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피고 있다. [사진=허영한 기자]
AD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등에 따르면 지난달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1년 전보다 1만3000명 늘어난 39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쉬었음' 청년은 5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2020년(46만2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기록했다.


'쉬었음'은 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이다.


전체 청년인구에서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만에 4.6%에서 4.9%로 뛰었다. 청년 인구가 줄었음에도 '그냥 쉰' 청년은 늘어난 탓이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감소 폭은 올해 3월부터 축소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줄어든 '구직 단념' 청년도 올해 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원하고 취업할 수 있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 경험자들이다.


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전년 동기(10만8525명)보다 약 1만1000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다.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5월 기준으로 2022년 13만6808명을 기록한 뒤 지난해 약 3만명 감소했으나 올해 다시 늘어났다.


청년 고용시장의 둔화세는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고착화하는 모양새다. 2010년 27만400명 수준이었던 '쉬었음' 청년은 2020년 64% 증가하며 44만8000명까지 늘었다. 이후 2022년(39만명)까지 감소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40만1000명을 기록하며 다시 40만명을 넘어섰다.



청년 인구 감소세에도 '쉬었음' 청년은 올해 들어서도 4월까지 40만∼44만3천명을 오르내리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