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해 벼 면적 최대 68.9만㏊ 전망…"당초 목표보다 1만 ㏊ 이상 추가 감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부터 추진한 2024년도 쌀 적정생산대책을 통해 올해 벼 재배면적이 68만3000~68만9000㏊로 전망된다고 23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는 전략작물직불, 지자체 예산활용(감축협약 포함), 농지은행, 농지전용을 통해 당초 계획(69만9000㏊)보다 1만㏊ 이상 추가 감축하는 것이며, 지난해(70만8000㏊) 대비로도 1만9000~2만5000㏊를 감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벼 면적 최대 68.9만㏊ 전망…"당초 목표보다 1만 ㏊ 이상 추가 감축" (자료사진)
AD

당초 농식품부는 예상 수요량 등을 감안하여 올해 적정 벼 재배면적을 69만9000㏊로 전망하고 지난 4개월 동안 지역별 쌀 적정생산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2023년산 산지쌀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지자체 협의·농가 참여 독려 및 현장 홍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 결과 전략작물직불제와 지자체 예산활용을 통해 2만2881㏊, 농지은행 매입 1827㏊, 농지전용 7400㏊ 등 3만2108h㏊의 벼 재배 감축면적이 접수됐다. 다만 전략작물직불제 및 지자체 예산활용을 신청한 이후 벼 재배로 회귀하는 면적을 감안할 때 실제 벼 재배면적은 68만3000~68만9000㏊로 전망됐다.


이런 추가 감축은 전략작물직불 지원대상 품목을 논콩에서 완두·녹두·잠두·팥 등을 포함한 두류 전체로 확대하고 옥수수를 신규로 추가하였으며, 두류와 가루쌀의 지원단가를 1㏊당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100만원씩 인상했다. 1만㏊ 이상의 추가 감축을 통해 5만t 이상의 2024년산 쌀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며, 이를 활용하여 2023년산 쌀 5만t을 쌀값 안정을 위해 식량원조용으로 정부가 매입하기로 지난 6월 21일 열린 민당정 협의회에서 결정한 바 있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벼 적정생산을 통한 수급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자체, 농협, 농진청, 쌀생산자단체 등과 함께 총력을 다해 노력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여름철 태풍·장마, 가뭄 등 재해 대응 및 신속한 병해충 방제 등을 통한 안정생산을 추진하여 수확기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