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도 증시 5조 달러 돌파…세계 5위권 '안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6개월간 1조달러 유입
美, 中, 日, 홍콩 이어 세계 5위
모디 3기 경제 정책 연속성 기대감

지난주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센섹스와 니프티50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인도 증시 시가총액이 5조달러를 돌파했다. 3연임에 성공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연립 정부를 구성해 주요 경제 정책의 연속성을 담보한 것이 투심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국립증권거래소(NSE)는 최근 6개월간 약 1조달러를 끌어모으며 지난주 시가총액이 5조달러(약 6900조원)를 넘어섰다. 미국, 중국, 일본, 홍콩에 이어 세계 5위 규모다. 지난달에도 인도 증시 시가총액이 장중 5조달러를 찍은 바 있으나 종가 기준으로는 4조달러대로 밀렸다.


인도 증시 5조 달러 돌파…세계 5위권 '안착'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이러한 인도 증시 활황의 배경에는 모디 정부의 향후 경제정책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국민당(BJP)은 이번 총선에서 예상보다 적은 의석을 얻었지만,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주요 동맹국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증시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모디 정부 10년간 세계 5위 경제 대국으로 도약한 인도는 향후에도 연간 7~7.5%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수닐 코울 골드만삭스 전략가는 지난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모디 3기 정부가 대부분의 주요 장관들을 유임시킨 결정으로 폭넓은 정책 연속성이 확인됐다"며 "인도의 거시 경제가 매우 안정적인 시장으로 남아 있는 만큼 향후 지속적인 수익 성장과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인도 증시 호황의 원인으로 수백만 명에 달하는 인도 젊은이들의 투자 참여가 늘고 있는 점도 지목했다. 모닝스타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수백만 명의 인도에선 2000만개가 넘는 투자 계좌가 개설됐고, 첫 11개월간 인도 펀드 총자산은 19% 증가했다. 또 올해 은행과 보험사를 포함한 인도 국내 펀드는 올해 260억달러 이상의 주식을 사들였지만 같은 기간 외국인들은 35억달러어치를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최근 인도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상향 조정한 것도 투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둔 엘라라 캐피털의 비노 파티파람필 리서치팀장은 "한때 (인도증시를) 지배했던 외국 기관 투자자들은 더는 (인도) 시장의 유일한 동인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노무라홀딩스의 전략가 체탄 세스는 "인도 시장의 밸류에이션(평가 가치)에 대한 우려로 충분한 투자를 단행하지 못했던 외국인들은 여전히 보유 비중을 낮게 유지하고 있다"며 "인도 시장으로 배치되기를 기다리는 외국 지역 펀드의 자금은 넉넉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