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북, ‘제2의 베를린 장벽’ 세우나[양낙규의 Defence Club]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전방 4곳 장벽 건설…최대 200m 넘어
볼모지 조성, 지뢰 매설 등 귀순자 통제

북한이 최근 군사분계선(MDL)에 콘크리트 방벽을 건설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 당국은 북한이 휴전선 248㎞를 동서로 잇는 거대한 장벽을 세우려는 것인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


북, ‘제2의 베를린 장벽’ 세우나[양낙규의 Defence Club] 북한이 휴전선을 따라 거대한 장벽을 세운다면 중·러와 미국의 대립에서 싹튼 ‘신냉전’의 도래를 상징하는 ‘제2의 베를린 장벽’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합동참모본부)
AD

18일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 4월부터 북방한계선(MDL 북쪽 2㎞) 사이의 일부 지역에서 병력을 투입해 볼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추정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날 오전에도 북한군 일부가 중부전선 MDL을 침범했다가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퇴각했다”고 밝혔다. 비무장지대(DMZ)는 현재 수풀이 우거져 있고 MDL 표식이 잘 보이지 않는 상태다.


북한은 전방 4곳에 콘크리트 장벽을 세웠다. 이 중 한 곳은 길이가 200m가 넘는다. 북한이 휴전선을 따라 거대한 장벽을 세운다면 중·러와 미국의 대립에서 싹튼 ‘신냉전’의 도래를 상징하는 ‘제2의 베를린 장벽’이 될 수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말 남북 관계를 ‘동족’이 아닌 ‘전쟁 중인 교전국’으로 규정했다. 올 1월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선 "접경 지역의 북남(남북) 연계 조건들을 철저히 분리하기 위한 단계별 조치를 실시해야 한다"고 관계 단절을 선포했다. 북한이 군사분계선 철책에 더해 장벽까지 건설하기 시작한 것은 이런 ‘반통일’ 지침을 선언적 의미를 넘어 물리적으로 공식화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정보당국은 앞서 지난 9일 곡괭이와 삽 등을 든 북한군 20~30명이 경기 연천 일대에서 MDL을 침범했다가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퇴각한 것도 장벽 건설 작업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우리 군은 북한이 전방 지역에 지뢰매설을 하면서 지뢰 폭발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장벽을 쌓아 국경을 통제해야 할 정도로 북한 내부 동요가 만만치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 북한의 기상, 작업 병력, 자재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볼 때 작업 지역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전방 지역 우발 상황에 대비해 유엔(UN)군사령부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