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9000만명 다녀간 '국민수족관'…40년 역사 추억속으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쿠아플라넷63, 이달 말 운영 종료
1985년 국내 최초 아쿠아리움으로 개장
프랑스 '퐁피두센터' 미술관으로 탈바꿈

국내 최초 아쿠아리움으로 큰 사랑을 받았던 아쿠아플라넷63이 약 40년 만에 문을 닫는다. 이곳에는 프랑스 3대 미술관으로 불리는 복합문화시설 퐁피두센터 미술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9000만명 다녀간 '국민수족관'…40년 역사 추억속으로 63씨월드(현 아쿠아플라넷63)에서 아쿠아리스트가 피딩쇼를 선보이고 있다.[사진제공=한화호텔앤드리조트]
AD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자회사인 아쿠아플라넷63이 오는 30일 운영을 종료한다고 18일 밝혔다. 1985년 63씨월드로 문을 연 아쿠아플라넷63은 다양한 해양생물 관람은 물론 각종 체험과 공연을 선보이며 63스퀘어를 대표하는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소풍과 수학여행 수요는 물론,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꾸준히 찾으며 개장 이후 누적 방문객 9000만명을 달성했다.


이곳은 최대 250여종, 3만여 마리의 해양생물이 모인 곳으로 한때 남극 '임금펭귄'을 만날 수 있는 국내 유일 아쿠아리움이었다. 임금펭귄은 남극과 인근 아열대 섬에서 서식하는 펭귄으로 황제펭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펭귄 종이다. 또 해달과 바다코끼리, 핑크백 펠리컨 등도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2013년에는 해양생물연구소를 설립해 종 보전 연구에도 힘썼다. 개장 초기부터 관람객을 대상으로 해양생물 생태 설명회를 꾸준히 진행해온 것도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의 일환이었다. 아쿠아리움의 대표 퍼포먼스로 자리잡은 '인어공주 공연'도 아쿠아플라넷63이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1992년 시작한 인어공주 공연은 국가대표 출신 싱크로나이즈드 선수들이 수족관 안을 유영하는 프로그램으로 동화 속 인어공주를 연상케했다.


아쿠아플라넷63이 떠난 자리는 한화가 내년 문을 여는 것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는 '퐁피두센터 한화 서울' 개관을 계기로 공간 리노베이션 작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한원민 아쿠아플라넷63 관장은 "지난 수십 년간 아쿠아플라넷63을 다녀간 모든 방문객에게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곳에 있는 해양생물들은 일산과 광교, 여수, 제주 아쿠아리움으로 거처를 옮겨 생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의 아름다운 전경과 예술작품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 '63아트'도 아쿠아플라넷63과 함께 이달 말 문을 닫는다. 63아트는 63스퀘어 60층에 위치해 '세상에서 제일 높은 미술관'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했다. 이곳은 세계적인 작품은 물론 국내 신진 작가 작품을 소개하며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해 왔다.



63아트는 마지막 전시로 '맥스 달튼 영화의 순간들'을 선보인다. 맥스 달튼은 영화의 명장면을 독특한 일러스트로 표현하는 그래픽 디자이너다. 63아트에서는 소원을 기록할 수 있는 특별한 엽서도 판매한다. 엽서에 소망을 적어 소원의 벽에 걸어두면 2025년 제주 들불축제에서 이를 소각해 준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