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팬데믹 이후 해외투자 3분의 1 美로 쏠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中 투자는 7→3%로 반토막
고금리·바이드노믹스 영향…美대선 불확실성

금리와 반도체 지원 정책 등에 힘입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투자의 3분의 1이 미국으로 향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 미국의 글로벌 투자 점유율은 18%에 불과했는데, 크게 늘어난 것이다.

팬데믹 이후 해외투자 3분의 1 美로 쏠렸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미국 금리가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한 점이 해외 투자자들에게 매력 요소로 작용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또 조 바이든 행정부가 재생에너지 및 반도체 생산 촉진 계획에 따라 수십억달러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외국인 직접 투자(FDI)가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추세는 중국 등 신흥 시장에 자본이 쏟아졌던 팬데믹 이전 시대와는 크게 변화한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IMF에 따르면 2021~2023년 총 국경 간 자본 흐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에 그쳤는데, 이는 2019년까지 10년간 약 7%를 기록했던 것에서 줄어든 수치다. 중국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려 하지만 지난 4월 기준 중국에 대한 해외 투자는 4개월 연속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흥시장에 대한 총 FDI는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불과했는데, 이는 21세기 동안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 같은 추세가 뒤집힐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 바이드노믹스의 핵심 요소를 뒤집겠다고 약속했고,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말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면서 이 같은 미국의 이점이 계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11월 대선 결과에 따른 세금, 관세, 지정학적 긴장 등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급증하는 부채도 우려 요소 중 하나다.



그레이스 팬 TS 롬바르드 매니징 디렉터는 "제도적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큰 문제는 규제의 명확성을 토대로 한 법치주의가 차기 대통령 임기 동안 외국인 투자자와 미국 투자자 모두에게 적용될 것인지 여부"라며 "이는 탈달러화 움직임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미국 자산에 대한 투자자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