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의료계 18일 집단휴진…비대면진료·문 여는 병원 '보건복지콜센터 129'서 확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응급환자는 24시간 운영하는 전국 408개 응급실 이용 가능

정부가 오는 18일 의료계 집단 휴진을 앞두고 진료를 유지하거나 비대면 진료를 하는 병·의원 안내에 나섰다.


17일 보건복지부는 의료계 집단 휴진이 예고된 내일(18일) 동네 문 여는 병·의원에 대한 정보는 보건복지콜센터 129, 구급상황관리센터 119,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10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644-2000 등의 콜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인터넷으로는 응급의료포털에서 시군구별로 문 여는 병·의원을 확인하면 된다. 또한 복지부나 건강보험심평원, 각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응급의료포털로 들어갈 수 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응급의료정보제공'(E-Gen)을 내려받아 가까운 지역의 병·의원을 찾아볼 수도 있다.


비대면 진료를 볼 수 있는 곳은 건강보험심평원 홈페이지에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진료기관' 메뉴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복지부는 지난 2월 23일부터 병·의원을 포함한 모든 종별 의료기관의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고 있다. 4월 3일부터는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도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허용했다.


비대면 진료는 초진, 재진 상관없이 모두 받을 수 있다. 다만 의약품 수령은 원칙적으로 본인 또는 대리 수령(환자 직계존속 등)만 가능하다.


응급환자는 응급의료법에 따라 24시간 운영하는 전국 응급실 408곳을 이용하면 된다.


정통령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비상진료상황실장은 "의료계가 집단휴진을 진행하는 기간에도 국민 안전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응급진료체계 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진료 가능 병·의원을 적극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응급환자는 집단휴진 기간에도 응급실에서 신속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겠지만, 비응급 환자는 가급적 문을 연 병·의원이나 보건소를 확인해 이용하거나 비대면진료를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며 "방문 전 미리 전화로 정상 진료 여부를 확인하고, 통상적으로 받는 처방은 미리 받아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