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일·중 학생 교류 활발해진다…교육장관 4년5개월 만에 공동선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교육 정책 공유, 학생 교류 장려하기로"

한·일·중 학생 교류 활발해진다…교육장관 4년5개월 만에 공동선언
AD

한국과 일본, 중국 교육장관이 4년 5개월 만에 만나 교육혁신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15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3국의 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5년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한국 주도로 만들어진 3국 장관급 협의체다.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중국에서 개최된 제3회 교육장관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렸다. 한국에서 한·일·중 교육장관회의가 개최된 것은 제1회인 2016년 이후 8년 만이다. 이번 회의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대신,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3국 장관은 회의 종료 후 '2024 한일중 교육혁신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서 3국은 "교육의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 정책과 우수 사례들을 공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격차, 사이버보안과 안전성 등 기술 활용에 수반되는 우려점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에 적용돼야 할 기본 원칙을 공유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3국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3국은 또 "초중고 학생들 간의 교류, 상호 방문 및 문화 체험을 장려하고, 이해와 우호를 증진하기 위해 청소년 스포츠 및 문화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한·일·중 3자 회의에 앞서 한일, 한중 양자 회의도 개최됐다. 한일 양자 회담에서 양국은 한일 인적 교류 활성화 방안, 저출생과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양국 정책 공유·협력 방안, 한일 대학 총장 포럼 활성화 방안 등을 주로 논의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