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법원, '총기참사 조작' 음모론자에 "재산팔아 2조 배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미국 연방법원이 총기 참사 사건이 조작이라고 허위 주장한 극우 음모론자 알렉스 존스에게 개인 자산을 매각해 2조원에 달하는 배상금을 내라고 명령했다.


1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보도에 따르면 미 파산 법원 크리스토퍼 로페즈 판사는 이날 존스가 운영하는 가짜뉴스 웹사이트 '인포워스'의 모회사 프리스피치 시스템스에 대한 소유권을 포함한 그의 자산을 매각하라고 명령했다.

美 법원, '총기참사 조작' 음모론자에 "재산팔아 2조 배상" 극우 음모론자 알렉스 존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존스는 샌디훅 초등학교 총기 참사가 조작됐다고 허위 주장해 2022년 15억달러(약 2조 800억원)에 달하는 배상금 지급 명령을 받았다.


샌디훅 참사는 2012년 12월 14일 20세 총격범이 코네티컷주 뉴타운 샌디훅 초교에 난입한 뒤 총기를 난사해 어린이 20명과 교사 6명을 살해하고 목숨을 끊은 사건이다. 극우 가짜뉴스 사이트 인포워스를 운영하는 존스는 이 사건이 총기 규제를 원했던 당시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 언론에 의해 조작됐다는 음모론을 유포했다.


이후 참사 유가족이 제기한 명예훼손 소송 과정에서 존스는 샌디훅 총기 난사가 실제 있었던 사건이라고 입장을 바꿨으나 이후에도 여러 차례 음모론을 퍼뜨렸다. 또 배상금 지급 판결을 받고 존스는 배상금을 내지 않기 위해 법원에 개인 파산 보호 절차를 신청했다.


그러나 배상금 액수와 인포워스 운영 문제 등을 두고 유족들과 합의에 실패하면서 지난주 파산 보호 신청을 포기하고 자산 매각으로 전환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법원이 이날 존스의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존스가 거주하는 자택 등 일부 소유물을 제외한 자산 대부분이 매각돼 손해배상에 쓰일 전망이다. 존스는 앞서 배상금 지급을 위해 280만달러(약 38억원) 상당의 텍사스 목장과 총기 수집품 등을 매각했다.


AP는 최근 법원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존스의 개인 자산은 약 900만 달러(약 125억원)라고 밝혔다. 다만 법원은 별도로 제기된 프리스피치 시스템스의 기업 파산 신청에 대해서는 매각 명령 없이 이를 기각했다. 이에 존스가 음모론을 퍼뜨리는 데 이용해 온 인포워스는 당분간 그대로 운영할 수 있다.


프리스피치 시스템스 매각에 대해서는 채권자인 샌디훅 유가족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코네티컷주 법원에서 존스를 고소한 유가족들은 존스가 회사를 자신의 자산 은닉 수단 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강제 매각해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텍사스주 법원에서 재판을 진행한 다른 유가족들은 프리스피치 시스템스를 헐값에 강제 매각하는 대신 존스가 계속 수익 창출 수단으로 운영하게 되면 더 빨리 배상금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프리스피치 시스템스는 식품이나 옷 등을 판매해 지난 4월 320만달러(44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AP는 유가족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리고 존스도 회사 소유 자산과 관련한 법정 공방을 예고하면서 인포워스 운영 지속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한편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총기 문제가 다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날 보수 우위의 미 연방 대법원이 반자동 소총 자동 연속사격(연사) 장치인 '범프 스톡'(bump stock) 금지 정책을 폐기해 반발이 일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