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맞벌이 부모, 4명 중 1명 "우울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워킹맘 돌봄 비중 증가하면 우울·불안·자살 생각 증가"

서울 맞벌이 부모의 24%가 우울 문제를 겪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 맞벌이 부모, 4명 중 1명 "우울해"
AD

서울연구원은 '2023년 서울양육자서베이'와 서울 영유아 양육 여건·양육자의 정신건강 양육 스트레스 등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 워킹맘·워킹대디의 현주소' 인포그래픽스를 발행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만 0∼9세 자녀를 둔 서울 맞벌이 부부 5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3.6%는 우울감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불면증과 불안감을 경험한 비율은 각각 20.8%, 15.8%로 드러났다. 8.6%는 자살까지 생각했다.


최근 3개월간 일·생활 균형 정도를 묻는 질문에 워킹맘의 43.7%, 워킹대디의 38.8%는 '일에 치이다 보니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잊을 때가 있다'고 했다. 워킹맘·대디 10명 중 3명은 퇴근 후에도 일 걱정을 했다.


워킹맘은 가사·자녀 돌봄 시간이, 워킹대디는 직장생활·경제활동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가사·자녀 돌봄에 워킹맘은 3.4시간을, 워킹대디는 1.8시간을 썼고 직장생활·경제활동은 워킹맘 7.5시간, 워킹대디 8.9시간이었다.


연구원은 배우자와의 자녀 돌봄 분담 비중과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워킹맘의 돌봄 비중이 증가할수록 우울·불안·자살 생각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했다. 하루 개인 활동·휴식도 워킹맘 1.4시간, 워킹대디 1.5시간에 불과했다.


만 0∼9세 자녀와 함께 사는 20∼64세 기혼자 807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에 대해 조사한 결과 워킹맘의 30.3%, 워킹대디의 46.4%가 '직장에서 이용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답해 회사 눈치를 보는 곳이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워킹맘 가정의 53.1%는 부모로서 겪는 가정의 어려움으로 '돌봄 공백'을 꼽았다.


'육아 쏠림' 때문에…"여성 경제활동과 출산은 '마이너스' 관계"
서울 맞벌이 부모, 4명 중 1명 "우울해"

지난달 27일 통계개발원이 지난달 발간한 '경제 사회적 요인에 따른 출산 격차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여성 소득의 계수는 -0.04로 자녀 수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 소득이 100% 증가할 때 자녀 수는 약 4% 감소하는 것이다. 반면 남성 소득은 자녀 수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과 일본을 두고 "여성의 직장·가정 병행이 특히 어렵다"며 유연한 근로 시간, 가사 분담으로 여성 경제활동이 경제 성장과 저출생 해결에 기여하는 선순환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보육시설 확충과 남편 출산휴가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로 남성의 육아 참여도 제고, 원격근무와 유연한 근무 시간 확대 등도 제시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