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OJ 총재 "지속적인 2% 인플레이션 달성이 목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24 BOJ-IMES 컨퍼런스' 연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는 27일 연설에서 인플레이션 2%를 지속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슈퍼 엔저로 일본 가계 소비가 위축됨에 따라 이를 위해서는 BOJ가 기준금리를 조기에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BOJ 총재 "지속적인 2% 인플레이션 달성이 목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우에다 총재는 이날 BOJ와 일본 금융연구소(IMES)가 도쿄에서 주최하는 '2024 BOJ-IMES 컨퍼런스' 연설에서 "지속할 수 있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려고 한다"며 "BOJ는 인플레이션이 제로(0)에서 벗어나 기대치를 높이는 데 진전을 이뤘지만, (이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는 어느 (주요국) 중앙은행에도 어려운 일"이라면서도 "일본의 경우 특히 더 그렇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일본은 1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된 초저금리와 엔저로 통화와 환율정책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BOJ가 지난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단기 금리를 연 -0.1%에서 연 0~0.1%로 올렸음에도 엔·달러 환율은 34년 만에 처음으로 1달러당 160엔을 돌파했다.


일본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전 분기 대비 0.5% 감소했다. 시장은 엔화 약세에 소비가 위축된 여파라고 해석한다. 일본 4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지난해 동월 대비 2.2%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25개월 연속 BOJ 목표치(2%)를 상회했다.


우에다 총재는 "다른 주요국 중앙은행과 마찬가지로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라면서도 "중요한 금리 변동이 없으면 금리 변화에 대한 경제의 반응을 평가하는 데 상당한 장애물이 된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BOJ가 조기에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BOJ가 이르면 7월 기준금리를 0.2%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 연말 엔·달러 환율 전망치를 143엔으로 봤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