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尹 "한중 협력 계속 강화 희망" 리창 "믿음직한 좋은 이웃 되고 싶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中총리와 양자회담…9년 만의 방한

尹 "한중 협력 계속 강화 희망" 리창 "믿음직한 좋은 이웃 되고 싶어"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한중회담을 갖고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도 양국 간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한국 측과 함께 노력해 서로에게 믿음직한 좋은 이웃, 또한 서로가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로 되고 싶다"고 화답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께 용산 대통령실 2층 확대회의실에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리창 총리와 회담을 열고 "한중 양국이 우리의 양자 관계뿐만이 아니라 국제 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두발언에서 "지난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 주석님과 만나 이를 위한 유익한 협의를 가진 것을 기억한다"고 언급한 윤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자카르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리 총리님과 회담을 가진 이후 다시 이렇게 만나게 돼서 반갑다"고 환영했다.


윤 대통령은 "중국 국무원 총리께서 한국을 찾으신 것이 2015년 리커창 총리께서 오신 이후 9년 만이니만큼 리창 총리님의 방한이 더욱 뜻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양국 간에 다양한 분야에서 장관급 대화가 재개되고 지방 정부 간 교류도 활성화되고 있다"며 "양국이 앞으로도 계속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서로 존중하며 공동이익을 추구해나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제사회에서 한중 양국이 직면한 공동의 도전과제가 엄중한 것도 사실"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하마스 사태가 지속되고 있고 이로 인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도 가중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지난 30여년간 한중 양국이 여러 난관을 함께 극복하며 서로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해왔듯이 오늘날의 글로벌 복합위기 속에서도 양국 간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尹 "한중 협력 계속 강화 희망" 리창 "믿음직한 좋은 이웃 되고 싶어"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에 리 총리는 "지난번에 자카르타에서 대통령님과 만났을 때 대통령님께서 건강하고 좋은 중한 관계는 양국 근본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씀하신 것이 기억난다"며 "중한 양국 수교 30여년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양국관계는 신속한 발전을 이룩했고, 특히 경제·무역 분야에서 풍부한 성과를 거두어 양국 인민에게 커다란 혜택을 가져다줬다"고 평가했다.


리 총리는 "특히 중한 양국은 항상 상호 존중을 견지하고 평등한 대화와 진심 어린 의사소통을 통해 끊임없이 우호와 상호신뢰를 심화시켜왔다"면서 "우리는 개방과 포용을 견지해 공동의 정신으로 공감대를 모으고 차이점을 해소해나가면서 좋은 협력의 분위기를 유지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호혜 윈윈을 견지하고 실질적 협력과 이익에 융합을 강화해 공동의 발전과 번영을 촉진해왔다"며 "이 모든 소중한 경험들에 대해서 함께 소중하게 여기고 또한 오래도록 견지해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 측은 한국 측과 함께 노력해 서로에게 믿음직한 좋은 이웃, 또한 서로가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로 되고 싶다"며 "올해는 중한일 협력 출범 25주년이 되는 해로 중국 측은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지지하며, 이번 회의에서 적극적인 성과를 거둬 3국 간에 협력과 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응당한 기여를 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중국 총리의 방한은 지난 2015년 리커창 총리의 방한 이후 9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중국·일본과 양자 회담을 한 후 27일 한일중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3국 정상회의가 열리는 것은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제8차 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이날 한중 양자회담에는 우리 측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재호 주중대사,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박춘섭 경제수석 등이 배석했다.



중국 측에서는 진 좡룽 공업정보화부 부장, 쑨 예리 문화여유부 부장, 싱 하이밍 주한중국대사, 류 쑤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우 정룽 국무위원 겸 국무원 비서장, 왕 원타오 상무부 부장, 마 자오쉬 외교부 상무부부장, 쑨 웨이둥 외교부 부부장, 캉 쉬핑 총리판공실 주임 등이 함께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