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벼랑 끝 TBS, 서울시 지원중단 남은 돈 겨우 20억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시의 지원 중단 ‘카운트다운’…민영화도 난항
“250명의 직원이 직장 잃는 사태는 피해야”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에 대한 시의 지원 중단이 임박했다. 새 인수자를 찾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TBS의 앞길은 첩첩산중이다. 연합뉴스는 26일 이달 말을 기점으로 서울시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폐지되고 시의 출연금 지원이 끊긴다고 보도했다.


TBS는 원래 시 산하기관이었다가 박원순 전 시장 재임 기간이던 2020년 2월 서울시 출연기관으로 변경됐다. 이후 ‘김어준의 뉴스공장’ 프로그램의 편파 방송 논란으로 인해 시의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벼랑 끝 TBS, 서울시 지원중단 남은 돈 겨우 20억원 상암동 TBS 사옥 [이미지 출처=TBS 제공]
AD

시 관계자는 “TBS 지원과 관련해 시가 행정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면서 “더 이상의 시 예산 투입은 안 된다는 것은 확정적”이라고 말했다. 조만간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할 것으로 보이지만, TBS 지원 근거를 담은 조례가 폐지돼 TBS에 출연금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6월 10일 서울시의회 회기 시작 15일 전인 이달 27일까지 TBS를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새 조례안을 발의하는 방법도 한때 거론됐다. 그러나 시가 이 방법에 부정적이라 새로운 조례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현재 한겨레신문과 MBN을 비롯한 몇몇 언론사와 증권 전문 유튜브 채널이 TBS 인수 의사를 타진한 상태다. 매각 주관사인 삼정KPMG는 인수 희망 의사를 밝힌 기업을 취합해 이달 말 TBS에 알리게 된다. 그러나 TBS 민영화 진행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250명가량의 TBS 직원에게 고용승계를 보장해야 하고, 민영화 후 TBS의 라디오 채널에 대해 상업광고를 풀어줄지도 불확실해 인수전에 적극적으로 나설 동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TBS 직원들의 퇴직으로 몸집이 줄어든 이후에야 인수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TBS의 정규 라디오 방송과 케이블 채널을 분리해 매각하는 방안도 별도의 법인을 세워야 가능해 현실성이 없다는 평가다.


시는 언론사 하나가 통째로 사라지고 250명의 직원이 직장을 잃는 사태는 피하기 위해, TBS를 시 산하 사업소로 전환하는 방식도 차선책으로 검토 중이다. 2022년 12월 김어준씨의 뉴스공장 하차로 편향 논란이 줄어든 만큼, 적절한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시가 다시 사업소 형태로 TBS를 운영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시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벼랑 끝 TBS, 서울시 지원중단 남은 돈 겨우 20억원 지난 4월 22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TBS 노동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TBS 지부 노조원 등이 TBS 폐지 조례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팻말을 들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매각과 사업소 전환 모두 단기간 진행은 어렵기 때문에 시가 6월 시의회 의장단이 새로 꾸려진 다음 TBS에 대한 한시적 지원을 담은 새 조례안을 내는 방안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 이밖에 TBS가 폐업하고 주파수를 방송통신위원회에 반납하면 이를 공매하는 방식도 거론되는 방향 중 하나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가 TBS에 대한 지원을 3개월 연장하는 조례안을 추진했으나 의회에서 논의되지 못했다”면서 “지원 중단 사태가 장기화하기 전에 문제를 풀어나갈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TBS는 20억원가량의 자금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약 두 달 동안 겨우 방송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자금이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