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도…美증권위, 현물 ETF 승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반에크·블랙록 등 8개 자산운용사 신청서 승인
"가상화폐 업계에 매우 흥미로운 순간"
"최대 61조5000억원 유입될 것"

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거래의 길이 열렸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화폐로는 처음이다.


23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날 반에크 등 8개 자산운용사가 신청한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심사요청서(19B-4)를 승인했다. 지난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약 4개월만으로,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화폐)으로는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비트코인 이어 이더리움도…美증권위, 현물 ETF 승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SEC는 이날 "신중한 검토 끝에 위원회는 이 신청이 미 증권거래소에 적용되는 증권거래법 및 그에 따른 규칙, 규정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반에크가 신청한 이더리움 현물 ETF의 결정 시한은 이날까지였다. 이 밖에 블랙록, 피델리티, 그레이스케일, 비트와이즈, 아크·21셰어즈, 인베스코·갤럭시, 프랭클린 템플턴 등도 신청서를 제출했다.


코인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이번 승인은 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와 함께 이더리움 현물 ETF 시장 출시를 허용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21셰어즈의 부사장 겸 법무 책임자인 앤드루 제이컵슨은 "이것은 (가상화폐)업계 전반에서 매우 흥미로운 순간"이라며 "(가상화폐 현물 ETF 거래를 위한)중요한 단계"라고 진단했다.


이번 미 규제당국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은 디지털 자산업계에도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에 대한 전망은 밝지 않았다. 가상화폐 시장에 비판적인 인물로 알려진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코인은 증권으로 간주해 강도 높은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기 때문이다.


앞서 블룸버그통신도 지난 19일 이더리움 ETF 신청기업들과 SEC 간 비공개 대화가 과거 비트코인 ETF 상장 승인 때와 비교해 거의 없다며 신청 회사들도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ETF 분석가 에릭 발추나스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SEC가 이 문제에서 입장을 180도 바꿀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분위기 반전을 암시했다.


실제로 SEC가 지난 21일 반에크 등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 자산운용사에 증권신청서를 수정하라고 요청하면서 ETF 승인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렸다. 주요 외신은 "SEC가 갑자기 마음을 바꾼 이유는 확인되지 않는다"며 "SEC 대변인도 이날 ETF 승인을 알리는 이메일에서 더 이상의 언급을 삼갔다"고 전했다.


시장은 이더리움 현물 ETF 거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수십억 달러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스탠더드차타드의 제프 켄드릭 디지털자산 리서치 대표는 "첫 12개월간 150억달러에서 최대 450억달러(61조5000억원)가 시장에 들어올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조사 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비트코인 현물 ETF의 순유입액은 120억달러(약 16조원)를 돌파했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 시각 오전 8시50분 기준 이더리움의 가격은 전일 대비 0.36% 오른 3756.24달러에 거래됐다. 이날 6만6000달러 선까지 떨어졌던 비트코인 가격도 이더리움 ETF 승인 이후 6만8000달러 선에 육박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