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기 신라 역사 비출 청동거울 조각 발견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주시 서면 사라리 덧널무덤서 나와
국내 유사사례 無…전한시대 청백경 추정

경북 경주에서 초기 신라 역사를 밝힐 청동거울 조각이 발견됐다.


초기 신라 역사 비출 청동거울 조각 발견돼 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청동거울편
AD

한국문화재재단은 경북 경주시 서면 사라리 124-2번지 일대에서 널무덤 두 기와 덧널무덤 두 기, 청동기 및 삼국시대 생활 흔적을 발굴했다고 8일 전했다.


청동거울 조각은 나무로 된 철기, 옻칠한 나무 칼집에 철검을 끼운 형태의 칠초철검(漆?鐵劍)과 함께 덧널무덤에서 나왔다. 무덤에 묻힌 피장자 가슴 부근에서 확인됐다. 끝자락에 마모된 흔적이 있어 상당 기간 소유했다고 추정된다.


초기 신라 역사 비출 청동거울 조각 발견돼 일본 다테이와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거울

조각에는 ‘承之可(승지가)’라는 명문이 남아있다. 재단 관계자는 “국내에 유사한 사례가 없는 명문과 조각 형태”라고 설명했다. 비슷한 자료는 일본 후쿠오카에 있었다. 다테이와(立岩) 유적 독널무덤에서 출토된 중국 전한시대(기원전 202년∼기원후 8년) 청백경(淸白鏡)이다. ‘外承之可兌(외승지가태)’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재단 관계자는 “글자 형태, 명문대 배치까지 매우 유사하다”며 “전한시대 청백경 조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청백경은 신라 건국 과정 등 초기 신라 역사 연구에 중요한 학술자료다. 신라 건국 이전에 이미 상당한 권력층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까닭이다. 당시 한반도 북부에 있던 전한과 교류한 흔적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재단 관계자는 “피장자가 상당한 권력을 가졌던 인물로 판단된다”며 “권력자의 존재를 입증하는 유물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초기 신라 역사 비출 청동거울 조각 발견돼 덧널무덤 전경

재단은 이번에 조사한 무덤들이 원삼국 시대에 마련됐다고 추정되는 경주 사라리 130호 무덤보다 최대 100년 앞서 조성됐다고 보고 있다. 관계자는 “기원전 100년 이전 경주 북서쪽 일대에 정치 세력 집단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