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AI자동투자 콴텍, 증권사 구독형 투자 서비스 오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뉴스듣기 글자크기

하이브리드 투자 서비스 'PB 플랫폼'
콴텍 RA 기술과 증권사 PB 고객관리 서비스 결합

인공지능(AI) 자동투자 콴텍은 증권사 구독형 투자 서비스 ‘PB 플랫폼’을 공식 출시하고 B2B 서비스 모델 확장에 속도를 낸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8월 하나증권과 계약을 맺고 PB 플랫폼을 개발해 온 콴텍은 ‘콴텍x하나증권 PB 플랫폼’을 공식 오픈하고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 콴텍은 하나증권을 시작으로 추후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등 제휴 증권사에도 서비스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PB 플랫폼’은 콴텍의 로보어드바이저 AI기술인 큐엔진(Q-Engine)과 증권사 PB(프라이빗뱅커)의 고객관리 서비스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투자 서비스다. PB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는 투자금액에 상관없이 대면 및 비대면으로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누릴 수 있고, 증권사 PB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고객관리가 가능하다.


증권사 PB는 전문적인 금융 지식과 PB 플랫폼의 지원을 바탕으로 고객 자산을 분석해 일임계약을 권유한다. 콴텍은 PB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금융자산을 운용 및 관리하며, 투자자의 기존 자산과 콴텍의 우수한 투자 알고리즘을 조합해 최적의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


콴텍은 PB플랫폼에 생성형 AI인 챗GPT를 활용한 최신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투자자가 보유한 종목을 분석하고 설명해 투자자 편의를 높였다.


콴텍은 자체 로보어드바이저 기술을 통해 국내주식을 시작으로 해외주식을 비롯해 EMP(ETF Managed Portfolio)와 연금상품에 이르기까지 투자자 성향에 맞는 맞춤형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해 나간다. 투자자가 콴텍과 직접 일임계약을 진행하기 때문에 거래비용 외 별도의 운용수수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PB 플랫폼은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형태의 증권사 구독형 서비스로 출시됐다. 증권사는 콴텍이 업데이트한 최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콴텍의 지속적인 로드맵 제공과 플랫폼 고도화 작업 등 체계적인 사후관리도 지원받는다.


증권사는 PB 플랫폼 도입으로 콴텍의 로보어드바이저 AI 기술을 활용해 자산분석 서비스 및 다양한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며 고객관리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콴텍투자일임 관계자는 "콴텍이 종합 금융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PB 플랫폼을 통해 많은 투자자가 AI자산관리 서비스를 경험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콴텍은 B2B 시장은 물론 B2C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과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 2월 새롭게 선보인 ‘콴텍 Q-Shield 국내 주식 2호(적극투자형)’ 알고리즘은 21.03%의 연환산 수익률을 기록하며 차별화된 운용 성과를 보이고 있다.




박형수 기자 parkh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