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주항공청장 내정자 "우주개발, 민간 주도로…기업 홀로서기 돕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윤영빈 내정자, 2일 기자단 차담회
"민간 참여 사업 마련…기술 이전"
"국제 컨소시엄 참여…적극 협력"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내정자는 2일 "기존의 정부 주도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의 역할 분담을 재정립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민간이 상용 우주개발을 주도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주항공청장 내정자 "우주개발, 민간 주도로…기업 홀로서기 돕겠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우주항공청의 윤 청장 내정자를 비롯해 노경원 차장 내정자, 존리 임무본부장 내정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출입기자들과 차담회를 열었다. 우주항공청은 오는 27일 경남 사천시에 개청을 앞두고 있다.


윤 내정자는 "청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민간과 기업이 우주 개발을 담당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 세계 우주개발은 민간 주도 형태로 바뀌어 너무나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로 이뤄지면서 세계 추세에 못 쫓아간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청은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을 마련하고, 필요한 경우 정부가 참여할 것"이라며 "추후 우주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성숙하게 하고, 홀로서기 하는 시점을 앞당길 것"이라고 했다.


출연연과 대학의 경우 고위험, 장기 미래우주 개발 사업에 집중하는 형태가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부연했다.


우리나라를 5대 우주 강국으로 도약시키려면 우주 강국과의 격차를 좁히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윤 내정자는 "우주 강대국과의 격차를 어떻게 줄일지, 줄이는 과정에서 어떤 사업을 어떻게 추진할지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


또한 "우주 개발은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이라며 "미국도 쉽지 않아서 단독으로 하지 않고 여러 나라의 도움을 받아서 '아르테미스'와 같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도 국제적인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게 맞다"며 "적극적인 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윤 내정자는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에서 학·석사를 마치고 미국 미시간대학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 서울대에 부임해 현재까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1년 국가지정연구실사업에 선정돼 액체로켓엔진의 분사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2013년 차세대우주추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저비용, 고효율 액체로켓엔진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