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랑구 면목7구역 등 총 3000세대 공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면목7구역(면목본동 69-14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 조건부 가결... 중화5구역(중화동 122 일대) 공공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고시

중랑구 면목7구역 등 총 3000세대 공급
AD

중랑구(구청장 류경기) 면목본동, 중화동 일대의 주택 정비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에 존재감을 드러낸 대상지는 면목7구역(면목본동 69-14일대), 중화5구역(중화동 122일대)이다.


구는 노후화된 저층 주거지 일대에 양질의 주택을 공급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구민들의 주거 안정에 기여하는 데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먼저, ‘면목7구역(면목본동 69-14 일대)’는 지난 12월 13일 열린 ‘제8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이 조건부 가결됐다.


대상지 일대는 노후한 단독·다세대주택이 혼재되어 있고, 보행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택지로, 2021년 12월 중랑구 1호 민간재개발(신속통합기획) 후보지로 선정된 바 있다. 이후 구는 신속통합기획안 수립, 주민설명회, 주민공람 공고 등의 절차를 진행, 올해 11월 서울시에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을 요청했다.


이번 심의를 통해 제2종(7층이하), 제2종일반주거지역이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되며, 용적률 299.87% 이하, 최고 35층 이하, 총 1447세대(임대주택 379세대)로 탈바꿈한다. 지역의 주요 가로인 겸재로54길과 상봉로1길의 교차지점에는 공원과 체육시설도 조성된다.


특히 이번 심의 가결은 서울시 1차 민간재개발(신속통합기획) 후보지 21개소 중, 가장 먼저 통과됐다. 또 기존 5년 이상 걸리던 정비구역 지정기간이 2년으로 대폭 단축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음으로 2021년 3월에 선정된 공공재개발 후보지 ‘중화5구역(중화동 122일대)’도 추진 동력을 얻었다. 대상지는 ‘2023년 제3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지난 12월 14일 정비구역으로 지정 고시됐다.


대상지는 약 7만㎡ 규모로, 인근에 지하철 7호선·경춘선·경의·중앙선 상봉역과 7호선 중화역이 있다.


정비계획에 따르면 용적률 290.11% 이하를 적용한 지상 최고 35층 이하의 공동주택 1610세대(임대주택 포함)가 공급된다. 또 중흥초 남동 측에 공원을 배치해 학교 주변과 통학로를 개선하고 중흥초에서 상봉초로의 개방감을 고려해 중앙부 남북방향으로 통경축(조망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각적으로 열린 공간)을 확보하고, 기존 가로체계를 고려한 동서 간의 보행 활성화 및 상봉역과 연계를 위한 공공보행통로를 계획했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노후하고 열악한 저층 주거지 일대에 양질의 주택을 공급함으로써,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주민들과 적극 소통, 서울시 및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중랑구 내 주택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중랑구는 지역 내 23곳이 국토부·서울시 주택개발사업 후보지로 선정됨에 따라 서울시 자치구 증 가장 많은 개발면적과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상지는 ▲재개발·재건축 6개소 ▲도심 공공주택복합사업 6개소 ▲모아타운 사업 11개소로, 노후화된 주택지가 쾌적한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