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3600만명…1977년 수준까지 감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한민국 인구가 올해를 기점으로 점점 줄어 50년 후인 2072년에는 3600만명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에 따르면 대한민국 총인구는 2022년 기준 5167만명에서 2030년에 5131만명, 2072년에는 3622만명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77년과 비슷한 인구 수다. 해당 수치는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순이동 등 인구변동요인별 중위(중간 수준) 가정을 조합한 시나리오다.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3600만명…1977년 수준까지 감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0.16% 수준을 유지하다가 이후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72년에는 -1.31% 수준으로 전망했다. 통계청은 2020년 인구(5184만명)를 정점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봤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감소' 규모는 2022년 -11만명에서 2040년 -27만명, 2072년 -53만명 수준으로 전망했다.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3600만명…1977년 수준까지 감소

2022년 기준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총인구의 71.1%(3674만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7.4%(898만명), 0~14세 유소년인구는 11.5%(595만명)로 집계됐다. 2072년 생산연령인구는 45.8%, 고령인구는 47.7%, 유소년인구는 6.6% 수준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 시기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를 앞설 것이란 추산이다. 고령인구는 2022년 898만명으로 총인구의 17.4%에 비해 2030년에는 1.4배(1298만명), 2072년 1.9배(1727만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3600만명…1977년 수준까지 감소

유소년인구는 지난해 595만명(총인구의 11.5%)에서 2072년 238만명으로 지난해 대비 40.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학령인구(6~21세) 역시 2022년 750만명에서 2040년까지 337만명 감소하고, 2072년에 278만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청년인구(19~34세)는 2022년 1061만명에서 2040년까지 339만명 감소하고, 2072년에 450만명 수준까지 하락한다.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31년 50세를 넘고, 2072년 63.4세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연령인구가 줄면서 100명당 부양인구는 2022년 41명에서 2058년에 100명을 넘어서고, 2072년 119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봤다. 유소년부양비는 2022년 16.2명에서 유소년인구가 더 빠르게 감소해 2033년 11.5명까지 낮아졌다가 증가해 2072년 14.3명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3600만명…1977년 수준까지 감소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의 빠른 증가로 인해 2022년 24.4명에서 2036년 50명을넘고, 2072년 104.2명 수준으로 2022년 대비 4.3배로 증가한다.



2022년 현재 인구피라미드는 30~50대가 두터운 항아리형이지만, 60세 이상이 점차 두터워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화될 것으로 봤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