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립부경대·한국해양대 통합 논의 본격화… “해양과학 카이스트 탄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립부경대와 한국해양대의 통합 논의가 본격화된다.


두 대학은 내년 글로컬대학 공모를 앞두고 부산지역 해양수산과학 특성화 국립대학 간 통합을 모색키로 했다.


장영수 국립부경대학교 총장은 5일 “글로벌 해양도시 부산의 교육과 산업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해 온 국립부경대와 국립한국해양대가 통합하면 미래 우리나라 해양수산과학 특성화 분야를 이끌 ‘해양과학 카이스트’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교육혁신 모델을 제시해 글로컬대학 공모에 선정된 부산대와 부산교대 간 통합 추진에 이어 부산의 다른 두 국립대학 간 통합 논의가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오른 것이다.


장 총장은 지난 30일 국립부경대에서 열린 전국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에서 “국립부경대는 27년 전 전국에서 처음으로 국립대 간 통합에 성공한 이후 지역 명문대로 성장해 온 만큼 통합 등 모든 혁신 논의에 열려 있는 자세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산업과 고등교육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대학 혁신을 위한 어떤 노력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힘줬다.


올해 글로컬대학 공모에서 여러 대학이 통합을 전제로 사업에 선정된 데 이어 내년 글로컬대학 공모를 앞두고 국립부경대와 국립한국해양대의 통합 이슈가 등장하면서 다른 대학들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두 대학 간 통합이 성사되면 입학정원 5000여명, 재적 학생은 2만8000여명으로 부산대를 뛰어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 분야 특성화 국립대학이 탄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에서는 한국 최초의 수산 분야 특성화 대학인 부산수산대를 전신으로 수산·해양·생명과학 분야를 이끌어 온 국립부경대와 해운·항만 분야를 선도해 온 국립한국해양대가 통합하면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에 따른 해양수산과학기술의 대전환을 이끄는 거점이 마련된다.


두 대학이 해양수산 분야 교육, R&D, 인재 양성에 특화한 인프라를 갖춘 데다 해양수산부는 물론 부산의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비롯한 연구기관들과 협력체계를 갖춰 글로벌 해양도시로 도약하는 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부경대는 국립한국해양대와의 통합과 관련해 앞으로 학내 공론화 및 의견수렴 등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 분야는 물론 디지털, 반도체, 금융, AI, 바이오 등 첨단 분야와 연계한 통합모델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국립부경대·한국해양대 통합 논의 본격화… “해양과학 카이스트 탄생” 국립부경대학교 캠퍼스.
AD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