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생에너지 전환, 경기도 성장기회로 삼아야…" 경기硏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재생에너지 전환, 경기도 성장기회로 삼아야…" 경기硏 거주지 인근 재생에너지 입지에 대한 도민 의견
AD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하는 ‘RE100’ 규제와 관련해 경기도민 3명 중 2명은 도내 기업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외부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연구원은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재생에너지 전환 잠재력,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의 2021년 전력 소비량은 13만3445GWh로 전국의 25%를 차지했다. 반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력 소비의 2.5%인 3281GWh로 전국 평균(6.9%)에도 미치지 못했다.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2.48GW로 시장 잠재량의 3.78%만 활용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탄소중립 규제로 탄소세가 부과될 경우 주력 산업인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와 함께 ‘운송서비스업’의 생산 수요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연구원은 앞서 지난 3월 모바일을 통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3.5%는 RE100 규제가 도내 기업의 경쟁력과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31.5%는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타지역이나 해외로 이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걱정했다.


이에 반해 기후 위기 대응 녹색 전환 투자가 경기도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77.7%가 동의했다. 거주 지역에 재생에너지 시설이 입지하는 것에 대해서도 79.2%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기후 위기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불안감’이 35.2%로 가장 컸다. 이어 ‘폭우, 태풍에 의한 재산 피해’(24.4%), ‘식량 문제와 먹거리 물가 상승’(22.1%) 순이었다.


경기도는 올해 4월 신재생에너지 9GW 공급을 목표로 기후 위기를 성장 기회로 삼는 ‘경기 RE100 비전’을 선언하고 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한편 경기연구원은 ▲태양광 이외에 풍력 시범단지 조성과 (소)수력·바이오·양수·조력 등 재생에너지원 다변화 ▲설치 부지의 제약 조건 해소 및 생산 효율 증대 ▲기초지자체 목표 권고 및 인센티브 제공 ▲배전망 운영·관리를 위한 전담 기구 설립 등을 제시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장은 "현재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은 기술적 잠재량의 7.65%에 불과해 2021년 경기도 전력 소비량의 74.7%를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기술적 잠재량을 최대한 시장 잠재량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역 차원의 노력과 중앙정부의 규제 및 법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