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후목표 정상회의 열렸지만…'탄소배출국' 미·중 정상 연설 불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후목표 정상회의가 열렸지만 탄소 배출의 주요 당사국인 미국, 중국, 인도의 정상들은 연설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반쪽짜리 회의로 마무리 됐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 총회 부대행사인 '2023 기후목표 정상회의'가 열렸다. 이 행사는 오는 11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앞두고 각 나라의 기후 행동을 촉구하려는 목적으로 열렸다.


기후목표 정상회의 열렸지만…'탄소배출국' 미·중 정상 연설 불참
AD

이번 회의에서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고위급 지도자들만 연설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포스트(WP)는 기후 변화에 책임이 큰 주요 당사국이 회의에서 중점적으로 나서지 않았다고 했다. WP는 "세계에서 가장 큰 탄소배출국 2곳, 중국·미국 지도자들은 (연설자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두 나라가 B급 리스트에 올랐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회의에는 세계 4대 탄소 배출국 가운데 유럽연합(EU) 정상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만 연설자로 초청됐으며 중국, 인도는 유엔총회에 아예 참석하지 않았다. 미국은 국가 정상이 아닌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주 주지사가 연설대에 올랐다.


주요국이 불참하면서 캐나다와 일부 EU국가가 개발도상국을 위해 기후기금에 더 많은 재정을 투자하겠다는 조처 이상으로 기후대응과 관련한 새로운 약속은 언급되지 못했다.


이에 해당 행사와 동시에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에 이목이 집중된 것에 대해 개발도상국들은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미아 모틀리 바베이도스 총리는 "안보리에서 우크라이나 문제를 진지하게 대하듯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생명이 걸려있다는 점에서 더 큰 위협"이라고 했다.



WP는 이날 회의가 신뢰도 위기에 맞딱뜨린 유엔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COP는 이전부터 기후 문제와 관련해 뚜렷한 국제적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