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소IT기업 "경기도교육청 스마트기기 입찰방식 재검토 요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협상에 의한 계약은 대기업에 유리"

중소기업계가 경기도교육청을 향해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 입찰방식 재검토를 촉구했다.


중소IT기업 "경기도교육청 스마트기기 입찰방식 재검토 요청"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위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아시아경제DB]
AD


경기도 it 협회 협의회는 2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 의회 교육위원회와 경기도 교육청이 유관 업체들과 사전 조율이나 협의 없이 기존의 ‘다수 공급자 계약(MAS)’을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일방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특정 대기업이 경쟁 없이 수주를 독점하게 됐다”고 밝혔다. 경기도 it 협회 협의회는 교육청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과 관련해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들을 대변하는 협의체다. 태블릿 단말기 및 노트북 공급사, 충전함 및 액세서리 업체, 설치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MAS는 다수의 계약자를 대상으로 조달청이 단가계약을 체결한 제품을 수요기관이 ‘나라장터 쇼핑몰’을 통해 구매할 수 있는 제도다. 경기도 교육청도 그동안 MAS를 통해 스마트단말기를 납품받았다. 최우식 경기도 it 협회 협의회장은 “이런 방식 덕분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품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 제공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MAS가 아닌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방식이 바뀌면서 중소 IT업계는 특정 대기업의 수주 독점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최 회장은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은 다수의 공급자가 제출한 제안서를 평가해 가장 유리하다고 인정되는 자와 계약하는 제도로, 기술능력 평가로 기업의 재무구조·경영상태, 인력·조직·관리기술 등이 주요 평가요소가 되기에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에 절대적으로 유리할 수밖에 없는 방식”이라며 “중소 제조업체가 낙찰 받을 가능성이 사실상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또 “경기도 교육청이 ‘2023년도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 총 예산 2923억원의 10%에 불과한 하자보수 업무를 위해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계약하겠다는 것은 특정 대기업 제품 구매를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며 “지금까지 공급된 중소기업 태블릿 PC의 시장 품질은 매우 안정적인 수준으로 학교 현장에서 잘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경기도 교육청의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은 기존 입찰방식인 MAS 2단계 경쟁 입찰 방식으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입찰에 참여해 원활하게 물품 납품이 이루어지는 등, 본 사업 목적 달성에 아무런 문제없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공고된 협상에 의한 계약방식을 전면 재검토 할 것을 경기도 의회와 경기도 교육청에 강력히 요청한다”고 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