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라이프시맨틱스, '토스' 출신 김보람 CPO 영입…"서비스 경쟁력 강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라이프시맨틱스는 기존 서비스 사업 부문을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ISS) 부문으로 개편하고 토스 출신의 김보람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영입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 확장과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고 21일 밝혔다.


라이프시맨틱스, '토스' 출신 김보람 CPO 영입…"서비스 경쟁력 강화"
AD

김보람 신임 CPO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국민의 건강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 고객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며 “라이프시맨틱스의 주요 비즈니스가 소비자에게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대국민 서비스를 구현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김 CPO는 모바일 식권 애플리케이션(앱) ‘식권대장’ 운영사 벤디스의 제품개발실장,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 기업 카사코리아의 CPO, 금융 앱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의 프로덕트 리드를 역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총괄한 이력을 가진 전문가다. 서울대 의료정보학 박사를 수료하고 서울대병원에서 고객건강기록(PHR)을 연구하는 ‘CoPHR 프로젝트’를 이끌고, 소비자 중심의 헬스케어를 알리기 위한 헬스 2.0 서울 챕터를 창립하는 등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다. 김 CPO는 앞으로 라이프시맨틱스의 디지털 헬스케어 각 영역을 통합?정비해 고객 친화적 서비스를 선보이고 개편된 ISS 부문을 서비스 전문 조직으로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라이프시맨틱스는 국내 첫 상용화 PHR 플랫폼 ‘라이프레코드(LifeRecord)’를 기반으로 삼성생명, KB손해보험, 한화생명보험, LH 등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매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정부가 지원하는 닥터앤서 2.0 사업 및 공공기관과의 업무협약 체결 등 B2G 사업에도 지속 참여하며 국내 의료 산업의 첨단화에 앞장서고 있다.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규제 산업에 속함에 따라 라이프시맨틱스는 B2B, B2G 사업에 무게를 두고 서비스를 전개해 왔다. 그러나 최근 헬스케어 산업의 기술적 성장과 정부의 규제 개선 의지가 강화된 만큼 앞으로 B2C까지 통합하는 대중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는 "김보람 CPO는 핀테크 분야에서 대중적 서비스를 이끌어온 기술 및 규제 산업 전문가"라며 "김 CPO를 필두로 라이프시맨틱스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을 통해 소비자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