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 70% 돌파…수도권 훈풍 비수도권으로 확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한달 전보다 2% 넘게 오르며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 집값 상승 훈풍이 확산되며 비수도권의 입주율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 70% 돌파…수도권 훈풍 비수도권으로 확산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동부 이촌동 아파트 모습.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12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1.5%로 전월 대비 2.8%포인트 올랐다.


수도권은 82.0%에서 81.1%로 0.9%포인트 하락했으나, 5대 광역시는 67.6%에서 68.3%로, 기타 지역도 64.6%에서 70.3%로 올라 비수도권이 전체적으로 65.9%에서 69.5%로 상승했다. 주산연은 "비수도권의 입주율은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수도권 입주율 하락은 서울의 입주율 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서울은 89.5%에서 85.3%로 4.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인천·경기권은 올해 최고치인 79.1%를 기록했다. 주산연은 "서울은 전년 대비 분양물량이 증가하고 청약경쟁률이 높게 나타났음에도 매매거래량 감소와 매물 누적으로 입주율이 주춤했다"고 덧붙였다.


비수도권을 들여다보면 강원권만 62%로 전월보다 1.3%포인트 하락했으며, 대전·충청권(71.8%), 광주·전라권(70.0%), 대구·부산·경상권(67.6%), 제주권(75.1%) 등 나머지 지역은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비수도권으로 확대된 여파로 풀이된다.


다만 비수도권 입주율은 여전히 부동산 시장이 뜨겁던 2020∼2022년 상반기 평균(83.3%)보다 낮은 수준이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 지연'(45.1%), '세입자 미확보'(25.5%), '분양권 매도 지연'(13.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분양권 매도 지연'이라고 답한 비율이 전월보다 9.9%포인트 증가했는데, 이는 주택 수요자가 청약시장으로 집중되면서 기존 주택 매매 거래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분양시장에 온기가 돌면서 9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월(84.6)보다 11.0포인트 상승한 95.6으로 조사됐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주택사업자들 사이에서 입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특히 수도권이 107.1로 2021년 7월(119.8)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의 경우 9월 입주 물량이 2021년 9월 이래 최저치라는 전망에 따라 사업자들이 실입주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내다본 것으로 관측된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