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여성 고용률 첫 60%대 진입했지만… '경력단절' 30대는 고용률 하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여성 고용률 2000년 이후 증가세
다만 30대~40대 구간 'M자형'
코로나 직후(2020년) 고용률 하락

지난해 여성 고용률이 처음으로 60%대에 진입했다. 하지만 경력단절을 겪는 시기인 30대 후반 여성의 고용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6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이 60%로, 2010년(52.7%) 대비 7.3%포인트 상승했다.


15~64세 남녀 고용률 차이는 2010년 21.3%포인트에서 2022년 16.9%포인트 줄어들었다.


여성 고용률은 2000년(50.1%) 이후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0년(56.7%) 코로나19 발생 이후로 소폭 감소했다. 이후 2021년(57.7%)부터 다시 상승했다.


여성 고용률 첫 60%대 진입했지만… '경력단절' 30대는 고용률 하락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그러나 30대 여성의 경우 결혼·임신·출산·육아 등의 경력단절로 인해 고용률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여성 고용률은 20대 후반(73.9%), 50대 초반(68.9%), 30대 초반(68.5%) 순으로 높은 반면, 30대 후반(60.5%)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때문에 여성 고용률은 30대 경력단절 발생으로 감소 후 40대에 다시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M자형' 양상을 띄고 있다. 다만 고용률 저점이 2010년 30대 초반(53%)에서 지난해 30대 후반(60.5%)으로 변했다는 점에선 차이가 있다. 이는 초혼 및 출산 연령 상승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여성 고용률 첫 60%대 진입했지만… '경력단절' 30대는 고용률 하락 [자료 출처: 여성가족부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여성 고용률 첫 60%대 진입했지만… '경력단절' 30대는 고용률 하락 [자료 출처: 여성가족부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지난해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이 73.%, 여성 54.6%로 2010년 대비 남성은 0.3%포인트, 여성은 5%포인트 감소했다. 여성 실업률(3.1%)도 2010년 대비 0.2%포인트 감소했고, 남성 실업률(2.7%)도 1.3%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2000년 남성 실업률(5%)이 여성 실업률(3.6%)보다 높았으나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2020년부터 여성(4%)의 실업률이 남성(3.9%)보다 높아졌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