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속 용어] 일본 속 한국인들 '조총련'과 '민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조총련'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약칭으로, 일본 내 친북 조선인 단체다. 조총련은 1945년 해방 직후 세워진 좌우합작 재일 조선인 조직 '재일본조선인연맹(조련)'이 뿌리다. 조련은 일본공산당 출신 인사들의 참여로 차츰 좌경화되면서 천황제 타도 등을 요구하다 1949년 9월 일본 주둔 연합국총사령부(GHQ)로부터 폭력 단체로 규정돼 해산됐다.


이후 재일조선해방구원회 등 조련 산하 조직 출신들이 만든 재일조선민주전선(민전)과 조련 행동조직 재일조선민주청년동맹의 후신인 조국방위위원회(조방위)가 결성돼 활동했다. 1955년 5월 민전과 조방위가 해산되고 조총련이 설립돼 올해 68주년을 맞았으며, 도쿄 치요다구에 중앙본부가 있다.

[뉴스속 용어] 일본 속 한국인들 '조총련'과 '민단' 무소속 윤미향 의원이 지난 1일 일본 도쿄 스미다구에 위치한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열린 간토대지진 100주년 조선인희생자추모행사에 참석, 추모비에 헌화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윤미향 의원 페이스북 캡처/연합뉴스]
AD

1958년부터 북한에 자금을 지원하고, 재일교포의 북한 귀환을 추진했으며, 일본 전역에 150여개의 조선학교를 세웠다. 1970년대 초반엔 재일교포 거의 절반을 포섭했다. 1970년대 중반 재일교포 성묘단의 한국 방문 사업이 시작되자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민단)'으로 전향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세력이 약해졌다.


일본 법무성에 따르면 2018년 12월 기준 2만9559명, 재일교포 82만4977명 중 3.6%가 조총련 소속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 장학금 등의 명목으로 지원하는 원조 등으로 명맥을 이어 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단'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약칭이다. 대한민국 정부가 공인한 재일 한국인 단체로, 조총련에 대항하면서 재일 한국인의 권익을 옹호하는 목적으로 설립됐다. 냉전 시절 규모가 더 컸던 조총련과 극한 대립을 벌여왔지만 서로 세력이 약해진 지금은 마찰이 거의 없고, 교류도 조금씩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은 일본인에 의한 차별 철폐, 일본지방참정권부여, 한일교류 촉진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일 한국대사관 영사부가 있는 도쿄 미나토구 건물에 본부가 있다.


1945년 설립된 조련이 북조선인민위원회를 지지하자 우익 재일 한국인 청년들이 조직한 '조선건국촉진청년동맹(건청)'과 '신조선건설동맹(건동)'을 합쳐 1946년 10월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이 만들어졌다.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따라 공인단체로 인정받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으로 개칭했고, 1994년 '거류'를 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회원 수는 약 50만명으로 알려져 있다.



조총련이 북한을 지원했지만 민단은 한국 경제발전을 지원해 왔다. 1982년에는 민단에서 출자해 신한은행을 설립했으며, 산하에 백두학원(건국학교)·금강학원·도쿄한국학교 등 다수의 교육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뉴스속 용어] 일본 속 한국인들 '조총련'과 '민단'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