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여름 월 1000kWh 넘게 전기 쓴 '슈퍼 유저' 3만 가구 넘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4인 가구 평균 사용량 2배 이상
1000kWh 넘으면 월 요금 30만원

지난해 여름 4인 가구 평균 사용량보다 두 배 이상 전기를 많이 쓴 '슈퍼 유저'(1개월간 1000kWh 초과 사용)가 3만4000여 가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이들 가구가 올여름에도 슈퍼 유저가 된다면 월 전기 요금으로 30만 원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


13일 한국전력(이하 '한전')에 따르면 지난해 8월 한 달간 1000kWh를 초과하는 전기를 사용해 '슈퍼 유저' 요금이 적용된 주택용 전기 고객은 3만4834가구였다.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9335가구로 1위였고, 2위는 서울(8696가구)이었다. 다음으로는 제주(3214가구), 경남(1838가구), 부산(1455가구), 인천(1436가구)의 순이었다.

작년 여름 월 1000kWh 넘게 전기 쓴 '슈퍼 유저' 3만 가구 넘어 지난 9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 서울지역본부에 설치된 전력 수급 현황 전광판에 현재 전력 사용량과 금일 예상 최대 전력수요가 표시돼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AD

현행 가정용 여름철 전기요금(7월1일~8월31일)은 '300kWh 이하'(kWh당 120원·이하 주택용 저압 기준), '301∼450kWh'(214.6원), '450kWh 초과'(307.3원)의 3단계 누진제로 나뉜다. 여기에 전기를 특히 많이 쓰는 고객의 절전을 유도하는 차원에서 여름철(7∼8월)과 겨울철(12∼2월) 가정용 전기 고객을 대상으로 '슈퍼 유저' 요금제를 적용한다. '슈퍼 유저' 요금제는 전기 사용량 1000kWh 초과 시 kWh당 736.2원의 최고 요율이 적용된다. 이 요율은 최저 요율(120원)의 6배나 된다.


'슈퍼 유저'의 기준이 되는 1000kWh는 4인 가구 평균 전기 사용량의 두 배 이상이다. 한전은 2020년 기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 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7~8월 가구당 평균 전기 사용량을 1인 가구 316kWh, 2인 가구 402kWh, 3인 가구 412kWh, 4인 가구 427kWh로 추정했다.


한전 관계자는 "슈퍼 유저 요금은 절전 시그널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일반 가구가 충분히 냉·난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 사용량과 미국 캘리포니아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정해졌다"고 설명했다.

작년 여름 월 1000kWh 넘게 전기 쓴 '슈퍼 유저' 3만 가구 넘어 여름철 주택용 전력(저압) 전기요금 부과 방식표[이미지출처=한국전력]

지난해 이후 전기요금은 40% 가까이 올라 올여름 '슈퍼 유저'가 되면 30만원 이상의 월 전기요금을 부담해야 한다. 이달 '슈퍼 유저' 요금이 적용되는 전기 1001kWh를 쓸 경우, 기본요금(7300원), 전력량 요금(23만7941원), 기후환경요금(9009원), 연료비조정액(5005원), 부가가치세(2만5926원), 전력산업기금(9590원) 등 총 29만4770원(10원 미만 절사)의 전기요금을 부담해야 한다.


'슈퍼 유저'는 전기 사용량이 조금만 더 많아져도 요금은 급상승한다. 예를 들어 8월 전기 사용량이 1300kWh, 1600kWh, 1900kWh인 세대는 각각 54만9810원, 80만5690원, 106만1590원의 전기요금을 낸다.



최근 5년간 8월 '슈퍼 유저' 규모를 보면 2018년이 4만9206가구를 기록했으며, 이후 2019년 1만7074가구, 2020년 1만1502가구, 2021년 5만4415가구, 2022년 3만4834가구였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