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콕!건강]휴가철 불청객 ‘눈 감기’ 유행성 각결막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눈의 감기'라고도 불리는 유행성 각결막염은 여름 휴가철에 환자가 급증하는 질병이다. '유행성'이란 이름처럼 비슷한 시기에 특정 지역 내에서 집단으로 발병할 수 있다. 각결막염은 검은 동자에 해당하는 각막과 흰자위에 해당하는 결막에 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두 부위를 합쳐 붙여진 이름이다.


[콕!건강]휴가철 불청객 ‘눈 감기’ 유행성 각결막염 유행성 각결막염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AD

발병 원인은 바이러스다.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이 옮기는 매개가 되기 쉽다. 전염력이 매우 강하고 수주에 이르는 상당한 기간 불편한 증상이 이어질 수 있다. 유행성 각결막염의 잠복기는 대개 5~7일로 보통 감염 후 3일이면 눈물과 눈곱 등 분비물이 많아진다. 이어 눈이 붉게 충혈되고 눈꺼풀이 부어오르기도 한다. 소아에게는 두통, 오한, 인두통 등이 동반돼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 한쪽 눈에 걸리면 반대쪽 눈에도 전염된다. 눈물을 통해 나온 바이러스가 반대편 눈으로 전염되기 때문이다. 다만 반대편 눈에 나타나는 증상은 처음 발병한 눈보다는 경미한 편이다. 대개 2주 정도 지나면 치료되지만 바이러스의 증식이 왕성하면 검은 동자에 해당하는 각막을 침범해 각막 혼탁을 일으키고 시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김윤전 서울아산병원 안과 교수는 "감염이 발생한 경우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줄이는 데 치료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안약이 사용되고, 상태에 따라 염증을 조절하기 위한 항염증제가 사용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인공눈물을 자주 사용하는 것은 바이러스로 오염된 눈물을 세척하는 효과가 있으며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며 "눈 주변이 붓고 이물감이 심할 때는 냉찜질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격리와 개인위생을 꼭 지켜야 한다. 가족 중 한명에게 유행성 각결막염이 생기면 다른 가족에게 옮기기 쉽기 때문에 수건, 침구 등 바이러스 감염을 매개할 수 있는 물건들을 공유하지 않는 게 좋다. 또 환자와 가족 모두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않도록 하며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