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극단적 폭염·폭우 반복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손석우 서울대 교수 SBS라디오 인터뷰
"한반도 3면 바다…온도상승 가팔라"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으로 대형산불이 나거나 해수온이 높아져 물고기·산호초 등 해양 생물이 생존에 위협을 받는 가운데 손석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가 한반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고 경고했다.


손 교수는 28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13일, 14일, 15일 충청·전북지역에 비가 엄청 많이 내렸고, 청주의 궁평지하차도 침수사건이 있었던 그 일대에는 하루에 300㎜ 이상의 비가 내렸다"며 "역사상 가장 많은 비가 내렸던 케이스"라고 설명했다.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극단적 폭염·폭우 반복될 것"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 공원을 지나가는 시민이 손으로 햇볕을 가리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AD

이어 "이렇게 극단적인 비들 많이 내리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또 비가 안 내리는 지역에서는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며 "집중호우랑 폭염이 번갈아 가면서 발생하고 있고, 한반도에서도 극단적인 기후변화가 계속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한반도는 지구온난화 향이 훨씬 강한 편"이라며 "하늘이 따뜻해지는 것과 함께 바다가 따뜻해지는 게 그 지역의 기온을 결정하게 되는데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닷물이 지금 계속 따뜻해지고 있기 때문에 온실효과에다 바닷물이 따뜻해지는 게 더해져서 우리 한반도의 기온은 다른 지역보다 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한반도에서 극단적인 폭염과 폭우가 반복되는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비가 많이 오고 비가 안 오고 이게 번갈아 가면서 발생을 하는데 전반적인 추세는 우상향을 그리면서 극단적인 게 반복될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기온은 따뜻해지고 비는 많이 내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 교수는 국제사회가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도 이하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로 했지만, 평균온도 상승이 가파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기상기구에서 올 7월이 역사상 가장 더운 7월로 기록될 것이라고 보고했다"며 "아마 올해 지나면 1.04도가 아니라 거의 1.1도 정도 올라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게 0.4도 남은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손 교수는 "1.5도로 제한하겠다는 것은 사실 매우 도전적인 과제"라며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유럽에만 국한되면 안 되고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중국과 미국, 대한민국도 (탄소 배출량 감소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