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5>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편집자주우리는 '나'를 중심으로 편집된 세상을 살아간다.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의 모습은 우리가 처한 환경과 조건, 겪어온 경험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풍경도 마음 상태에 따라 달라 보이는데, 이 세상이 내 눈에 보이는 대로 실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리는 모두 자신의 마음에 비친 상(相)을 보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 마음은 원인과 조건에 따라 순간 빛나고 사라지는 하나의 사건에 불과하다. '일체 모든 유위법은/ 꿈·허깨비·그림자/ 이슬·번개 같으니/ 이렇게 관찰할지라.' 마음은 영원하지 못하고, 꿈처럼 이슬처럼 사라지기 마련이다. 여기에 매달려 욕망하고 집착하느라 고통받지 말라고 <금강경>은 전한다. 글자 수 842자.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5>
AD

자신을 찾으라고만 배웠지, 자신을 비우는 일은 배운 적이 없습니다. 남들이 멋진 모습을 만들어 갈 때 나 혼자 비우다가는 큰일 날 것 같습니다. 매 순간 밀려드는 새로운 정보와 영상으로 인해 스마트폰에서 한시도 눈을 뗄 수 없습니다. 정작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볼 시간은 없습니다. 비단 학생들만의 일이 아닙니다. 저를 포함한 모든 직장인의 출퇴근길에 스마트폰과 이어폰이 필수품이 된 지 오래되었습니다. 쏟아지는 정보에서 뒤처질세라 잠시도 가만히 쉬지를 못합니다.


오히려 나를 찾으려는 마음을 내려놓고 주변을 둘러볼 수 있을 때, 나의 온전한 모습과 행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통용되는 '행복(happiness)'에 정확히 대응하는 것은 아니지만, 불교 용어 중에서는 만족이나 기쁨을 가리키는 '즐거움(樂, sukha)'이 비교적 행복에 가까워 보입니다. 초기 경전의 하나인 <법구경>에서는 행복을 몸에 병이 없는 것, 마음에 욕망·증오가 없는 것, 굶주림이 없는 것 등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지혜로운 사람이란 자신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고, 타인과 비교하지 않으며, 타인의 칭찬과 비난에 그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남들보다 잘났다는 우월감도 없고, 남들보다 못하다고 자신을 비하하는 마음도 없습니다. 스스로를 낮추는 마음 역시 남들과의 비교에서 우위에 서고 싶다는 욕망의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인간의 행복에는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소득이 늘어나는 만큼 행복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행복은 적은 것에도 만족할 줄 아는 소욕지족(少欲知足)의 마음속에 있습니다. 행복한 세상의 빛깔을 좇아 밖으로 향할 일이 아닙니다.



-김성옥,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불광출판사, 1만6000원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5>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