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 간 섬유화 진행 막으려면 '근육의 질' 중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비알코올지방간질환(NAFLD) 환자의 간 섬유화 진행을 막으려면 근육의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비알코올지방간 환자 코호트 구축' 과제(연구책임자 김원 서울대 교수)를 통해 이 같은 연구를 최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대한간학회가 2021년 발표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국내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전체 인구의 유병률은 약 20~30%, 발생률은 인구 1000명당 연간 약 45만명으로 파생되는 경제·사회적 손실이 매우 큰 질환이다. 그동안 근감소증이 있거나 골격근량이 적은 경우 비알코올지방간질환 발생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었으나,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들에서의 간 섬유화 진행에 근육의 질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는 분명하지 않았다.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 간 섬유화 진행 막으려면 '근육의 질' 중요 비알코올지방간질환 범위 및 예후.
AD

이에 연구진은 간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 292명(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지방간질환 코호트)을 대상으로 복부 CT로 평가된 근육의 질에 따라 근육량을 4개군(사분위수)으로 나눠 간 섬유화 진행 정도를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LAMA)을 가장 많이 가진 환자군(상위 25%)이 가장 적게 근육량을 가진 환자군(하위 25%)에 비해 간 섬유화 진행 위험도가 2.8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근육에 지방이 거의 없는 건강한 근육량(NAMA)과 전체근육량(TAMA)은 간 섬유화 진행 위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진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들의 '근육 질 지도'를 이용해 구분한 결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많이 가진 환자군에서 간 섬유화 진행 위험도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는 간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지방간질환환자들에서 특히 근육의 질이 간 섬유화 진행 여부 결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직접 확인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경변, 심혈관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인 간 섬유화로의 진행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육에 지방이 쌓여 있는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식단 조절과 함께 유산소 및 근력운동 병행 등 건강한 생활 습관 개선 및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화약리학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IF 9.524)' 인터넷판에 최근 게재됐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