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소아과 문 닫는 한국…강남 성형외과·피부과는 득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소아청소년과 5년새 521개→456개
특정과 많은 강남구는 개인병원 최다

최근 5년 새 서울 시내 소아청소년과의원 10곳 중 1곳은 문을 닫은 반면 정신건강의학과의원은 5년 전보다 77% 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서울연구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통계'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서울 시내 개인병원(의원) 중 소아청소년과는 2017년 521개에서 지난해 456개로 12.5% 줄었다.


성형외과 신경과, 내과 등 개인병원 진료과목 총 20개 중 5년 전보다 수가 줄어든 과목은 소아청소년과와 영상의학과(-2.4%)뿐이었다.


이에 대해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저출산과 낮은 수가 등으로 수입이 계속 줄어 동네에서 소아청소년과의원을 운영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소아과 문 닫는 한국…강남 성형외과·피부과는 득실 최근 5년 새 서울 시내 소아청소년과의원 10곳 중 1곳은 문을 닫은 반면 정신건강의학과의원은 5년 전보다 77% 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출처=연합뉴스]
AD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진료과목은 정신의학과였다. 같은 기간 302개에서 534개로 76.8% 늘었다. 이어 마취통증의학과 41.2%, 흉부외과 37.5% 순으로 증가 폭이 컸다.


정신의학과는 2018년부터 매년 전년 대비 10%가량의 증가세를 보인 반면에 소아청소년과는 2017년 이후 꾸준히 감소한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개인병원은 9467개로 전국의 27.1%를 차지했다. 전국 시도 중 유일하게 인구 1000명당 개인병원 수 비율이 1.00%를 기록했다. 이어 대구 0.82%, 대전 0.78%, 부산 0.77%, 광주 0.72% 순이었고 경북이 0.50%로 가장 낮았다.


개인병원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성형외과, 피부과 등이 밀집한 강남구(1835개)로 조사됐다. 이는 두 번째로 많은 서초구(708개)의 두배가량 많은 수치다.



2017년 대비 개인병원이 많이 생긴 구는 서초구(30.4%)였고 용산구(29.8%), 강서구(27.7%) 순이었다.




이보라 기자 leebora1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