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릎 퇴행성 관절염 수술 전부터 다학적 통증 조절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김재중 과장
'ICKKS 2023' 연구 논문 발표

무릎 퇴행성 관절염 수술 전 중추신경감작 여부를 사전에 파악해야 수술 후 통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김재중 과장 연구팀은 최근 열린 'ICKKS 2023 대한슬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제41차 정기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 수술 전부터 다학적 통증 조절 필요" 'ICKKS 2023 대한슬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제41차 정기학술대회'에서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김재중 과장이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제공=강남베드로병원]
AD

연구팀은 2015년 5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내측 개방형 근위경골 절골술을 받는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2년간 수술 전후 중추신경감작정도, 무릎상태, 통증척도 등을 조사해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내측 개방형 근위경골 절골술을 받은 뒤 무릎기능과 영상의학검사 결과가 정상이면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은 이들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중추신경감작군(37명)과 비감작군(84명)으로 분류하고 수술 전후 약 2년간의 통증척도, 무릎 기능점수 등을 비교 조사했다.


중추신경감작(central sensitization)은 중추신경계가 통증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게 되는 현상이다. 통증을 느끼는 역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통증이 아닌 자극도 통증으로 느끼거나 경미한 통증도 강하게 느끼게 된다. 유전적 소인 없이 오랜 기간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만으로도 중추신경계가 감작될 수 있으며, 실제로 무릎 수술을 앞둔 환자의 약 20~30%는 이미 중추신경계가 감작돼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구팀은 수술 전에 중추신경감작 여부를 미리 파악한다면 수술 후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통증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중추신경감작군은 비감작군에 비해 통증을 경험하는 빈도 및 척도가 높았으며, 무릎 기능 점수가 열악했다.



김재중 과장은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수술적인 치료를 통해 문제 요인을 깨끗이 해결했음에도 중추신경감작으로 인한 만성적인 통증이 나타나고 있어 연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방형 근위경골 절골술 시행 전 환자들의 중추신경감작 여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중추신경감작으로 진단된 환자에게는 수술 전부터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을 선별적으로 투여하고, 수술 후에는 만성적으로 통증이 나타나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다학적인 재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