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카오 호출 최적화 車 2025년 나온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아·카카오 헤일링 전용 PBV 개발 MOU

기아와 카카오모빌리티가 카헤일링(차량호출)에 최적화된 전용 목적기반차(PBV)를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2025년 국내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해외에도 같이 진출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두 회사 경영진은 11일 헤일링 전용 PBV·연계플랫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PBV란 기존 운전자 중심의 차량이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내부공간 배치 등을 달리 적용할 수 있는 운송 수단을 뜻한다. 택시·버스 같은 승객 운송 서비스는 물론 택배·물류차량도 PBV 범위 안에서 활용 가능하다. 중장기적으로 자율주행 기술이 발달하면서 차량 쓰임새가 한층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PBV 시장도 커질 것으로 업계에서는 내다본다.


카카오 호출 최적화 車 2025년 나온다 사진 왼쪽부터 카카오모빌리티 장성욱 부사장, 안규진 부사장, 류긍선 대표, 기아 송호성 사장, 권혁호 부사장, 김상대 전무가11일 기아 본사에서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그>
AD

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다양한 유형의 고객을 위한 맞춤형 이동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국내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을 선도할 친환경 차량호출 표준모델을 수립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기아는 2030년까지 전 세계 1위 PBV 브랜드가 되겠다는 구상을 밝힌 적이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최대 규모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다.


카카오모빌리티가 호출 전용 PBV에 필요한 특화 사양을 요구하면 기아가 이를 반영하는 구조다. 기아는 2025년 출시를 목표로 중형급 전용 PBV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그간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신차 개발과정에 적극 활용, 서비스 제공자나 이용자 모두에게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두 회사는 차량 운행 데이터나 상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을 비롯해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와 카카오T 애플리케이션·내비게이션 등을 연동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신규 특화 서비스를 개발을 끝내고 실증을 거쳐 2025년부터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충전·주차 등 차량 데이터와 연동한 파생 서비스도 내놓기로 했다. 교통약자 서비스나 물류·렌터카 등 사업영역을 다각화하고 해외 진출도 같이 추진할 예정이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