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속 용어]가상화폐 보관하는 '코인 지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실제 지갑 아닌 '디지털 지갑'
'블록체인' 등 강력한 보안 기술로 보호

가상화폐(코인) 보유와 관련해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논란에 휩싸였다. 김 의원이 보유한 것으로 보이는 코인 지갑 주소와 위믹스 코인 거래 명세도 공개됐지만, 의혹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여기서 '코인 지갑'이란 실제 현실에 존재하는 지갑은 아니다. 온라인에 존재하는 '디지털 지갑'이다. 코인 이용자는 이 지갑을 이용해 자신의 코인을 관리하고 보관한다.


은행 계좌와 코인 지갑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은행 계좌는 은행명과 숫자로 이뤄지지만, 코인 지갑은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해킹 등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영어와 숫자는 길고 어려운 형태로 돼 있다. 또 은행 계좌와 달리 코인 이용자 명의를 주소에 등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주소만 봤을 때는 코인이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다.


[뉴스속 용어]가상화폐 보관하는 '코인 지갑' 가상화폐 비트코인 모형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코인 지갑을 개설할 경우 암호화돼 있는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를 함께 부여받는다. 여기서 공개키는 은행 계좌번호로 볼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할 수 있는 정보다.


개인키는 계좌의 비밀번호로 이해하면 된다. 개인키를 이용해, 자신의 코인 지갑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인 소유자 본인만 알고 있어야 한다. 다만 개인키를 분실할 경우 코인 지갑에 접근할 수 없어, 거액의 코인을 보유한 자가 사망해도, 상속인들이 코인 지갑 개인키를 알지 못하면, 지갑에서 코인을 꺼낼 수 없다.


코인 지갑은 온라인 연결 여부에 따라 크게 '핫월렛(hot wallet)'과 '콜드월렛(cold wallet)'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핫월렛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 주소만 알면 다른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거래를 할 수 있는 형태의 지갑이다. 콜드월렛은 인터넷 연결이 끊긴 오프라인 상태에서 존재하는 형태의 지갑을 의미한다. 외부 장치에 코인을 저장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하드웨어 월렛(hardware wallet)이라고도 부른다. 해킹 위험 등을 우려하는 코인 투자자들이 주로 이용한다.



[뉴스속 용어]가상화폐 보관하는 '코인 지갑'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페이지 캡처

이 같은 코인 지갑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네트워크 기술로, 해킹 위험으로부터 코인을 강력하게 보호한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담고 있는 블록들이 각각 연결된 분산 데이터 처리 기술이다. 블록 간 연결된 모습이 사슬로 엮인 것 같아 블록체인이라 부른다.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특징은 참여자간 합의로 규칙이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참여자가 많다 보니 해커가 이를 해킹하려면, 모든 참여자의 블록들을 빨리 위변조해야 하므로 사실상 해킹이 불가능하여, 코인 지갑 보호 등 여러 IT 분야에 보안 기술로 쓰이고 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